부산·경남 등 이어 전북도 정부 지원대상 포함 / 道, 자동차 고도화·바이오 융복합 등 추진키로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철수에 대한 지역사회의 우려가 커지면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미래 신산업 발굴 등 활로 찾기가 본격화되고 있다. 특히 부산·경남·울산·전남 등 4개 시·도를 대상으로 추진했던 조선업 구조조정 지원사업과 관련 회의에 전북도가 포함되면서 위기 상황을 공동 대응하는 길이 생겼다.
20일 전북도에 따르면 최근 조선업 구조조정 관련 미래 신산업 지원 대상 자치단체에 부산·경남·울산·전남에 이어 전북이 포함됐다. 그간 관련 회의나 미래 신산업 발굴 논의는 전북을 제외한 4개 시·도 중심으로 추진됐다.
현재 산업통상자원부는 조선업 경쟁력 강화, 조선업을 대체할 미래 신산업 발굴을 통해 지역 산업구조를 전환하겠다는 목표로 중장기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해당 자치단체가 자체적으로 조선업 구조조정에 대비해 육성하고자 하는 대체산업 또는 미래 신산업을 중앙정부에 건의하는 형식이다. 규제프리존 연계산업, 조선·기자재업체의 사업 전환이 가능한 산업이 중심이다.
전북의 경우 자동차·기계 및 조선·기자재산업에 탄소산업을 접목해 고도화를 유도하고, 새만금을 중심으로 바이오 융복합산업을 육성하겠다는 복안이다. 이와 관련해 바이오화학 소재 클러스터 구축, 새만금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기반 전기 보트 개발 R&D 센터 구축, 탄소섬유 설계·성형 등 전문인력 양성 벤처존 등을 계획하고 있다.
또 4개 시·도에 설치하기로 한 조선업 희망센터 설치도 전북이 추가됐다.
군산 조선업 일자리희망센터는 국비 18억원을 지원받아 군산 고용복지플러스센터 내에 설치할 예정이다. 노사발전재단 등 7개 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퇴직(예정자), 배우자를 대상으로 전직 및 재취업(창업)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유희숙 전북도 경제산업국장은 “현재 전북테크노파크, 건설기계부품연구원 등과 미래 신산업 발굴에 대응하는 단계”라며 “앞으로 이를 추가경정예산이나 규제프리존 예산에 담아 타 시·도 조선업 밀집지역과 동등하게 지원을 받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