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열양상지역·텃밭 중심 검토
현장투표 아닌 여론조사 채택
준비과정 적어 앞당겨질 여지
더불어민주당의 6·13 지방선거 후보 공천을 위한 당내 경선이 빨라질 것으로 관측된다. 과거와 달리 본선거가 다자구도로 치러지는 만큼 본선 준비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고, 조기경선을 통해 경선 이후 발생할 후유증을 극복할 시간을 충분히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4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지방선거가 3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과열 양상을 보이는 지역은 물론 과거와 달리 1여 다야 구도로 치러지는 전북 등 텃밭 지역에서 경선 일정을 당기는 등의 대안 마련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의 이 같은 검토는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이 60%대로 높게 형성되고 있고, 전라도에서 당 지지율이 70%대에 육박하는 등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상황에서 치러지는 이번 지선의 최대 변수는 당 내부의 문제가 될 것으로 보여서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이번 지선은 민주당에게 굉장히 유리한 상황에서 치러진다. 대통령과 정당 지지율을 보면 이를 알 수 있다”며 “하지만 유리한 상황이라고 해서 공천 등의 관리에 소홀할 경우 심판을 받을 수 있다. 민주당이 제일 경계해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당내 경선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파열음을 최소화하거나, 이를 조기에 극복하지 못하면 세력의 이탈로 인해 지지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 실제 과거 민주당의 경선을 보면 본선 후보 등록을 바로 앞둔 상황까지 경선이 진행되다 보니 이를 극복할 시간이 충분치 못했다.
이 때문에 조기경선을 실시해 경선과정에서 발생한 후유증을 극복할 시간을 충분히 가져야 한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이와 함께 텃밭인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과거와 달리 다자구도가 형성되고 있다는 점도 조기경선 필요성에 힘을 싣는다는 게 정치권의 중론이다.
실제 전북 6·13 지선은 민주당과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은 물론 최근 시동을 걸기 시작한 무소속 연대 등 다자구도로 치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상황에서 과거처럼 본선 후보 등록 직전까지 경선을 치르게 되면 실제 선거를 준비할 시간이 충분치 못하게 된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과거와 달리 전북의 선거가 경쟁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선 후보 등록 전까지 후보를 뽑으면 됐던 것과는 상황이 달라졌다”고 강조했다.
이밖에도 민주당 경선 방식도 당의 조기경선 의지에 힘을 보탠다는 분석이다. 민주당은 지선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에서 현장투표를 실시하지 않고, 여론조사 방식으로 경선을 치른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