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12 07:35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정치일반
자체기사

국회 선거구획정위 구성 완료…전북 선거구 변동되나

지난 21대 총선 기준 익산지역·남임순·김제부안 등 인구하한선
익산 선거구 김제, 완주와 재조정 등 벌써부터 다양한 시나리오
감축땐 전북정치 또 위기, 선제적인 행정구역 개편 등 대책 필요

image
지난 총선에서 유세를 듣고 있는 시민들. 전북일보 자료사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선거구획정위’가 공식 출범하면서 전북지역 선거구 변동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북지역의 경우 지속적인 인구 감소로 21대 총선 선거구를 기준으로 3개 지역구의 인구 하한선이 무너졌다. 이 때문에 오는 2024년 4월 10일 치러지는 총선에서는 인구 추이에 따라 선거구의 재조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국회정치개혁특위(위원장 남인순)는 지난달 29일 전체회의를 열고 송봉섭 중앙선관위 사무차장을 위원장으로 호선하고 제22대 국회의원선거 선거구 획정을 위한 활동에 들어갔다. 선거구획정위는 공직선거법 제24조에 따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일 전 13개월인 내년 3월 10일까지 선거구획정안을 마련해 국회의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전북은 농어촌 지역의 게리멘더링 현상이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선거구 새판짜기가 완료되면 전북정치권에도 한바탕 파란이 예상되며, 현역 의원 간 공천경쟁이 벌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국회 정개특위는 현재 지역구와 국회의원 10석을 기준으로 인구 상·하한선을 완화하거나 다른 대안을 제시할 것으로 분석된다. 인구 대표성만을 기준으로 한다면 전북 등 비수도권 지역의 의석 수는 줄어들고, 경기도는 지역구가 늘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총선 선거구 획정 시계가 빨라지자 상·하한선이 붕괴된 도내 지역의 상황이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전북은 익산지역(2개 선거구)와 남원·임실·순창, 김제·부안이 지난 21대 총선 인구하한선인 13만 9000명보다 적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9월 현재 익산갑과 익산을로 나눠진 익산시는 27만 4525명이다. 

남원·임실·순창은 인구하한선보다 7548명이 적은 13만 1452명이며 김제·부안은 13만 1415명으로 7585명이 부족하다. 지난 20대 총선 인구하한선은 14만명이었지만 인구 감소 등에 따라 21대 총선 인구 하한선은 더욱 낮췄다.

지역 정가에서는 익산지역은 김제, 완주 중 한곳과 재조정 2석 유지, 완주·임실·순창 재편 가능성, 남원·무주·진안·장수 조정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나오고 있다.  

이들 지역이 조정되면 다른 지역도 개편이 연쇄적으로 발생할 개연성이 높아 차기 총선에서 선거구 지각변동이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총선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입후보들도 선거구 지역 외에도 개편 가능성이 있는 지역으로 활동폭을 넓혀가고 있다. 현역 국회의원인 A씨는 조정이 예상되는 지역의 보좌관 B씨를 영입해 벌써부터 선거구 변동에 대비해 차기 총선을 준비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후문이다. 

지역정치권 관계자는 "전북의 정치 위상이 갈수록 약화되고 있는 가운데 의석수마저 줄어든다면 정치적 변방으로 밀려날 수 있다"며 "전북 의석 수를 지키기 위해 선제적인 행정구역 개편 등 특단의 대책과 함께 지역과 정치권이 묘수를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 선거구 획정
다른기사보기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