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11 03:41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사건·사고

10대 여자친구 살해 시신 옆에 두고 열흘 간 지내

자신의 열일곱살 여자친구가 거짓말을 한다며 심하게 때려 숨지게 한 뒤 오피스텔에서 시신과 열흘이나 같이 지낸 20대가 경찰에 붙잡혔다. 신고도 접수되지 않은 이 살인사건은 '요즘 들어 이 친구가 연락이 안 된다'는 한 제보자의 말을 흘려듣지 않은 경찰의 민첩한 추적 끝에 세상에 드러났다. 경기 포천경찰서는 23일 10대 여자친구의 명치 등을 주먹과 발로 때려 숨지게 한 혐의(살인)로 한모(20무직)씨를 붙잡아 조사하고 있다. 한씨는 의정부시 자신의 오피스텔에서 여자친구 주모(17)양이 거짓말을 하는 것으로 의심된다며 수차례 때려 숨지게 한 혐의를 받고 있다. 시신 부패 정도와 연락이 끊어진 시기 등으로 보아 사건이 벌어진 때는 약 열흘전인 1314일 사이로 경찰은 추정했다. 한씨는 지난해 9월 주양을 처음 알게 돼 만나기 시작했다. 주양은 당시 고등학교 2학년에서 자퇴한 상태였다. 교제 중 한씨는 여자친구가 거짓말을 하는 것 같다며 추궁하는 과정에서 폭행해숨지게 한 것으로 조사됐다. 숨진 주양은 한씨가 자는 침대 옆에 눕혀져 이불을 덮은 채로 발견됐다. 한씨는 주양이 숨지고 시신 썩은 냄새가 진동하는데도 함께 지내온 것으로 확인됐다. 가끔 PC방이나 편의점에 들리는 것을 제외하곤 열흘 동안 숨어지냈다. 경찰에 붙잡힌 한씨는 '렌터카를 빌려 시신과 함께 나가 약을 구해 나도 죽으려고 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지난 20일 한씨의 친구로부터 이들이 며칠 연락이 안 된다는 얘기와 메시지 내용을 듣고 범죄 의심이 생겨 수사에 들어갔다. 연락처와 거주지를 추적한 끝에 이틀 뒤인 지난 22일 한씨가 사는 오피스텔을 찾아 잠복하다가 집으로 돌아오는 한씨를 만났다. 한씨의 집 문앞에서 강한 악취가 나는 것에 더 확신을 한 경찰은 한씨를 설득해2시간 만에 범행을 자백받았다. 한씨는 눈물로 자신이 저지른 살인사건을 털어놓았다.

  • 사건·사고
  • 연합
  • 2014.01.23 23:02

고창산림조합장 숨진채 발견

주말과 휴일 전북지역에서 각종 사고가 잇달아 발생, 2명이 숨졌다.지난 17일 오후 1시 30분께 임실군 운암면 옥정호 인근 야산에서 최모씨(49)가 목을 매 숨져 있는 것을 마을 주민이 발견해 경찰에 신고했다.경찰은 최씨가 심한 우울증을 앓고 있었다는 유족의 진술을 토대로 정확한 사망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같은날 오전 9시 20분께 고창군 심원면 한 갯벌에서 고창군산림조합장 전모씨(67)가 숨져 있는 것을 마을 주민이 발견해 경찰에 신고했다.당시 전씨는 바닷가에서 500m가량 떨어진 곳에 숨진 채 누워 있었다.또 전씨의 그랜져 승용차량은 바닷가로부터 1㎞가량 안쪽 바다에 빠진 채로 세워져 있었다.경찰은 목격자 등을 상대로 정확한 사망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화재와 교통사고도 잇따랐다.19일 낮 12시 10분께 완주군 용진면 강모씨(66)의 정미소에서 불이 났다.이 불은 건물 한 개동 330㎡와 트랙터 등을 태워 1억 5000만원 상당(소방서 추산)의 재산피해를 낸 뒤 3시간여 만에 꺼졌다. 앞서 18일 오후 6시 50분께 남원시 도통동의 한 도로에서 서모씨(78)가 몰던 소나타 승용차량이 길을 걷던 모모씨(48) 등 2명을 친 뒤 그대로 도주한 사고가 일어났다. 서씨는 150m 가량을 도주하다 다리 난간을 들이받고 3m 높이의 하천으로 추락했다.이 사고로 운전자 서씨 등 3명이 다쳐, 인근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 사건·사고
  • 최명국
  • 2014.01.20 23:02

고창 고병원성 AI 유입경로 파악에 '안간힘'

전북 고창군 신림면 한 종오리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한 가운데 방역 당국이 유입경로 파악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유입경로에 따라 살처분의 범위가 확대될 수 있기 때문에 설을 앞둔 축산농가들이 방역 당국의 발표에 귀를 기울이며 애를 태우고 있다. 이날 농장에서 나온 바이러스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H5N1'형으로 확인됐다. 전북도의 관계자는 "고병원성으로 확인은 됐지만, 오리가 닭보다는 바이러스 양이 적어 보다 세부적인 결과는 23일 정도 지나야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까지는 전북도에서 공식적으로 밝힌 것처럼 가칭오리떼의 분비물에 의한 전염 가능성이 1차적인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도는 AI가 발생한 농가가 인근 동림저수지에서 직선거리로 10여㎞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점을 주시하고 있다. 동림저수지는 전북지역의 대표적인 겨울 철새 도래지다. 특히 지난 67일께 이 농장 위로 가창오리떼의 군무가 수차례 펼쳐졌다는 농장직원들의 목격담을 근거로 조심스럽게 조류 분비물에 의한 감염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보통 AI에 걸리면 증세가 나타나기까지는 10여일 정도가 소요되는데 가창오리떼의 군무 시기와 증상이 나타난 시점이 얼추 이와 비슷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속단할 순 없지만, 가창오리의 분비물이 고병원성 AI의 주범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그러나 이미 AI병원균에 오염된 차량이 감염을 불렀다는 일부의 주장도 배제할 수 없는 상태다. 축사 10개동에 종오리 2만1천100여마리를 키우는 대형사육장이어서 일주일에도 두세 차례 공급차량이 드나든 점으로 미뤄 이들 차량에 묻은 병원균이 농장 내 오리로 번졌을 가능성도 있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전북도는 농장주인 정모씨 등 직원과 그동안 이곳에서 부화한 오리를 받아간 농장 차량 기사 등을 대상으로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역추적 조사를 벌이 고 있다.

  • 사건·사고
  • 연합
  • 2014.01.17 23:02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