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11 03:44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지역일반

20여년 무대지기에 비친 '조명...전북연극상 대상 이술원 무대감독

올해 나이 마흔여덟. 마흔 셋에 늦장가를 갔으니, 아직 신혼이다. 연극판에서 월급이라고 해야 뻔한 것. ‘2006전북예술상’ 공로상에 이어 ‘제23회 전북연극상’ 대상을 수상한 이술원 무대감독(전주시립극단)은 “아내에게 여러가지로 많은 도움을 받는다”며 수상소식에 아내를 가장 먼저 떠올렸다. “갑자기 상을 받게되는 것 같아서 얼떨떨합니다. 기분요? 기분이야 좋죠.”무대 뒤에서만 20여년. 그는 ‘갑자기’라고 했지만 오래 전부터 무대 뒤를 지켜온 그에게는 오히려 늦은 상이다. 서울에서 처음 연극을 시작했던 97년만 해도 연출과 배우만 있던 시절. 그 역시 연출이 하고 싶어 연극판에 뛰어들었고, 한때는 영화판에서 조감독을 했었다. “말 그대로 ‘하다보니까’ 여기까지 왔죠. 젊어서 연출을 하겠다고 봉동에서 서울까지 올라갔는데, 기술분야에서도 전문화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딱 한 번, 무대에 서봤지만 적성에 맞지 않았다. 95년 다시 전주에 내려오면서 부터는 서울에서 제작해 오는 세트 비용을 아끼자는 욕심에 본격적으로 무대감독으로 나섰다.“사람들은 무대 위쪽에만 관심이 많죠. 그래서 무대감독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연습과정에서부터 참여해 조명과 음향, 의상, 무대세트 등을 연출과 함께 의논하며 준비하죠.”그는 “막상 공연이 올라가면 연출보다는 무대감독의 역할이 더 중요하다”며 웃었다. 그의 손을 거친 작품은 100여편. 근작 중 기억에 남는 것은 ‘베니스의 상인’과 ‘트로이의 여인들’이다. 대작이었던 만큼 손이 많이 갔기 때문이다.앞으로 바람이 있다면 기술분야의 전문화에 힘을 보태고 후배들을 많이 길러내는 것. 이감독은 기억에 남을만한 작품 하나를 연출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그의 꿈이 계속되고 있었다. ‘제23회 전북연극상’ 시상식은 30일 오후 2시 전주창작소극장. 올해 ‘전북연기상’은 안동철(극단 황토) 이병옥(전주시립극단) 배건재(창작극회) 문광수(극단 둥지) 김종록(극단 명태) 주서영씨(문화영토 판)가 받게 됐다. 공로상에는 양문성(창작극회 조명감독) 천상묵씨(호남한의원장)가, 스탭에게 주는 특별상에는 김철호(극단 명태 작곡) 공동규씨(창작극회 안무)가 선정됐다.

  • 지역일반
  • 도휘정
  • 2006.12.25 23:02

[이치백의 一日五話] 1541년 미켈란젤로 ‘최후의 심판’ 첫 공개

◆ 12월 25일① 1회생 43명 졸업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법관을 양성한 교육기관은 법부양성소였다. 1895년 오늘, 1회생의 졸업시험이 치러졌는데 당시 합격한 사람은 함태영(咸台永 김제출신) 등 모두 43명이었다. 훗날 4대 부통령이 되는 그는 곧 판사로 임명됐다. 또한 이 양성소는 서울법대의 전신으로 친다.② 자급자족 국산품애용 운동1922년 조선청년회에서 전국에 자급자족 고취 및 국산품애용운동을 벌이는 한편 또 그 추진의 일환책으로 표어를 모집했다. 12눨 25일에 발표한 당선작을 보면, 1등 작품은 없고, 2등에 “내 살림은 내 것으로, 조선 사람은 조선의 것으로”. 3등 상은 “우리 것으로 살기” 등이었다. ③ 천국법정의 엄숙함 묘사1541년의 오늘, 로마의 교회당에서 이탈리아의 거장 미켈란젤로의 거작 ‘최후의 심판’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교황제단의 위에 그려진 이 유명한 그림은 은은하고 무거운 색조를 띄었다. 이를 보면 영원의 ‘생과 사’를 가리는 천국법정의 엄숙함을 느낀다.④ 대연각 호텔 화재1971년 12월 25일, 크리스마스 기분에 들떠있던 이날, 서울의 한 복판에 있는 21층짜리 호텔 대연각(大然閣)에서 큰 불이 일어났다. 이 화재로 놀랍게도 164명의 투숙객이 목숨을 잃었다. 실로 놀랍고 엄청난 화재 사고였던 것이다. 이 화재사건은 전 세계에 보도 됐었다.⑤ 크리스마스“꿈에서 보는 화이트 크리스마스 / 또다시 돌아 왔구나 / 눈 나리는 하늘아래 / 즐겁게 울린다. 썰매방울 …” ―오늘은 크리스마스. 기독교의 개조(開祖) 예수 그리스도가 태어난 날로 성탄절이라고도 한다. 기독교에서는 그리스도를 “하나님” , “구세주”라고 부른다.

  • 지역일반
  • 전북일보
  • 2006.12.25 23:02
지역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