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11 03:44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전주

[전주] 전주 마트.영화관 소방시설 관리 허술

전주시내 대형마트와 영화관의 소방시설 관리가 허술해 대형사고의 우려를 낳고 있다. 25일 전북도의회에 따르면 최근 겨울철 화재사고에 대비해 전주시내 대형마트와 영화관 등 8곳을 대상으로 지난 23일 현장감사를 실시한 결과, 4곳이 소화장비 및 피난통로 관리 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A마트의 경우, 1층 비상통로에 물품 하역을 위한 임시 사무소가 설치돼 화재시 고객들의 대피가 쉽지 않고 2층 자동식품 코너에 설치된 '자동확산소화용구'도 화기를 다루는 주방쪽이 아닌 객장쪽에 설치돼 화재시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A마트는 2층 스포츠매장에 설치된 비상통로를 임시 의류 보관 창고로 사용하다 적발됐다. B영화관과 C영화관은 화재로 인한 정전시 사용할 휴대용 비상조명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고 D오피스텔의 경우, 지하 3층 스프링클러를 작동하는 압력스위치가 노후화된데다 보조펌프가 수압을 견디지 못해 누수현상이 발생했다. 도의회는 "당일 관할 소방대원들과 함께 현장감사를 벌인 결과 일부 대형마트와 영화관측이 소방 안전관리에 상당히 무관심한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현장에서 드러난 문제점은 곧바로 개선하도록 소방서를 통해 매장측에 통보했다"고 말했다.

  • 전주
  • 연합
  • 2007.11.23 23:02

출입국관리소 불법취업 외국인 과잉단속 논란

출입국관리소가 불법 취업한 외국인을 단속하기 위해 사업장을 수색하는 과정에서 사유재산을 사전 양해 없이 무단 수색하는 등 과잉단속 논란이 일고 있다. 전주 출입국관리소는 지난 28일 진안읍 농공단지소재 4개 회사에 대해 불법 취업한 외국인을 색출하기 위해 경찰과 합동단속을 펼쳤다.그러나 수색을 당한 회사 관계자에 따르면 출입국 관리소 직원들이 공장을 수색하는 과정에서 사전 양해를 일체 구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들어와 회사내 구석구석을 수색하는 등 사유재산을 무단으로 침해하고 외국인이 아닌 내국인에 대해서도 인권을 침해하는 행위를 서슴없이 했다는 것.M회사 관계자에 따르면 "이들이 일방적으로 들어와 무단으로 사업장을 수색, 지금처럼 어려운 중소기업의 현실에 직원들의 사기를 크게 떨어뜨렸다”고 불만을 쏟아냈다.더욱이 한국사람이라고 신분을 밝힌 M회사 직원 손모(34) 여인에게 '고향이 어디냐' '한국사람 맞냐'는 등 질문을 쏟아내고 울산에서 왔다는 대답에 '그러면 울산 사투리로 말해봐라' 는 등 모욕을 당했다는 주장이다.S산업 관계자도 "마치 범법자를 대하듯 하는 출입국 관리소의 행위에 불쾌감을 느꼈다”며 "지금 같은 시대에도 이러한 행위를 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한편 전주 출입국 관리소 관계자는 "불법 취업한 외국인을 단속하기 위해서는 도주를 막기위해 불시에 수색을 할 수 밖에 없다”면서 "대부분 회사에 양해를 구하고 수색을 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 전주
  • 김동규
  • 2004.07.30 23:02

'신명이카드' 제도 정착 제대로 안되고 있어...

시내버스및 농어촌지역 버스 요금을 카드로 결제할 수 있는 '신명이카드'제도가 시행된지 2년반이 됐으나 카드충전소가 부족하고 잦은 고장을 일으켜 이용자들에게 불편을 주는등 정착이 제대로 안되고 있다는 지적이다.따라서 카드충전수수료를 현실화해주고 읍·면·동사무소에 충전소를 확대설치하는등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충전식 교통카드인 신명이카드는 시내버스및 농어촌지역 버스 이용시 현금지불에 따른 불편해소와 신용사회 정착 등을 위해 회수권 대신 지난 2002년 1월 20일부터 도내 전지역에서 통용되고 있다.4천원및 6천원 짜리 두종류인 신명이카드는 최소 5천원에서 50만원까지 충전이 가능하고 1회사용때마다 전체 버스요금중 30원이 할인되는 혜택 등으로 기대를 모았다.그러나 신명이카드 판매및 충전소가 크게 부족하고 충전소를 설치한 상가들 마저 수수료가 낮다는 이유 등으로 충전소 운영을 포기하는가 하면 충전단말기가 잦은 고장을 일으키는데다 제때 수리되지 않아 이용자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정읍지역의 경우 신명이카드 판매및 충전소는 시내권 일반상가 18군데와 12개 읍·면·동 민원실에 설치돼 있고 태인면을 비롯 11개면지역은 아예 판매및 충전소가 없다.이런 가운데 상가 카드 판매및 충전소중 일부는 충전에 따른 수수료가 0.2%에 불과해 수익이 적고 충전단말기의 잦은 고장으로 상가이미지마저 해친다며 충전소 고장난채 방치하고 설치자체를 기피하는 현상마저 보이고 있다.한편 정읍시 도로교통과 관계자는 "신명이카드와 관련된 민원이 적지않다"고 소개한뒤 " 충전소부족난을 덜기위해 칠보면·시기동을 비롯한 11개 면·동사무소와 본청 민원실에 오는 8월말이전에 신명이카드및 충전소를 확대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전주
  • 홍동기
  • 2004.07.06 23:02
지역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