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11 19:44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남원

남원시-성균관대, 화장품산업 발전 도모

남원시가 화장품 관련 기업 유치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시는 26일 성균관대학교(총장 정규상), (재)남원시화장품산업지원센터(이사장 이환주 남원시장)와 화장품 산업을 지속 가능한 신성장 동력사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성균관대는 동 대학원에 바이오코스메틱학과를 신설해 화장품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고, 생명공학대학 글로벌 바이오코스메틱 연구센터를 통해 화장품 산업의 기술 수요에 대응하는 연구진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학의 다학제적 접근과 분석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원천 기초기술의 연구 개발을 위한 산학협력에 나서고 있다.시는 2011년부터 화장품 산업을 신성장 동력사업으로 인식하고 화장품제조기업이 입주 가능한 화장품 집적화단지 조성을 완료, 분양 중에 있으며, 화장품 관련 연구개발 및 기업지원 전문기관인 (재)남원시화장품산업지원센터를 설립 운영하고 있다.또 친환경 CGMP(우수화장품제조 및 품질관리 인증)생산시설을 준공 가동하고 있으며, 올해에는 화장품 원료의 소재개발과 연구를 위한 장비를 갖춘 글로벌 코스메틱 컨버전스 센터 준공을 앞두고 있다.시와 성균관대는 이 같은 서로의 장점과 비전을 공유하면서 화장품 산업 발전을 위해 상호이해와 협력증진이 가능하다고 판단, 상생의 협력토대를 구축을 위해 업무협약 체결한 것이다.이번 협약으로 시와 성균관대는 지리산권 자원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 기술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와 국가 화장품 R&D 사업 공동추진, 화장품 학술 세미나 공동 개최 등을 통해 상호 발전과 우호 증진을 도모하게 된다.시 관계자는 성균관대가 이미 협력 파트너로 구축하고 있는 의과대학 내 피부임상연구센터를 비롯한 삼성병원, 연구기관, 산업체와 직간접적인 협력 네트워크를 맺게 돼 화장품 관련 기업 유치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지리산에 자생하고 있는 천연 화장품 원료의 소재 개발을 통해 남원시 화장품 산업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남원
  • 강정원
  • 2017.07.27 23:02

"벌 쏘임 주의"…폭염 속 벌집제거 신고 급증

본격적인 무더위로 인해 7월에서 9월 사이에 벌집제거 신고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나 벌 쏘임 등의 안전사고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이 기간 동안 본격적인 무더위로 인해 벌들이 번식하기에 좋은 환경이 형성되기 때문이다.20일 남원소방서에 따르면 남원·순창지역 벌집 제거 출동 건수는 2014년 811건에서 2015년 844건, 지난해 1225건으로 늘어나고 있다. 올해는 현재까지 81건이다.특히 지난해 7월부터 9월까지 1079건(88.01%)의 신고가 접수돼 폭염기간에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이 같은 현상은 기후 온난화로 인해 무더위가 길어져 벌들의 개체수가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소방서는 분석했다.실제 이날 순창군 복흥면의 한 단독주택 등 총 3건의 벌집제거 신고 접수됐으며, 지난 18일에는 남원시 금지면의 단독주택 처마 밑 벌집제거 등 5건의 벌집제거 신고가 접수됐다.말벌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제초작업 등의 야외활동 시 가급적 밝은 옷을 입고 강한 냄새를 유발하는 향수나 스프레이 등은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는 게 소방서 관계자의 설명이다. 말벌에 쏘였을 경우 벌집과 멀리 떨어진 안전한 곳으로 이동 한 뒤 신용카드 등의 모서리로 벌침을 제거하고 상처부위를 비눗물로 깨끗이 씻어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문진호 남원소방서 구조대장은 “벌집을 발견했을 때 무리하게 제거하려 하지 말고 안전한 곳으로 벗어나 119로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 남원
  • 강정원
  • 2017.07.21 23:02
지역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