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파면] '최장 60일' 대선 레이스 돌입…정권 교체냐, 재창출이냐
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선고하면서 최장 60일의 조기 대선 레이스가 시작됐다. 윤 전 대통령의 거취와 관련해 지난해 12월 14일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지속돼 온 불확실성이 제거됨에 따라 차기 대권을 놓고 양보 없는 승부가 펼쳐질 전망이다. 헌법재판소가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위헌·위법으로 판단하고 파면을 선고한 만큼, 여론 지형은 일단 현재 원내 제1당이자 윤석열 정부 시절 야당이었던 민주당에 유리한 구도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달 31일부터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천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응답률 22.4%,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참조)에서 '정권교체를 위해 야권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51%)은 '정권 재창출을 위해 여권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33%)보다 많았다. 민주당은 이같은 여론 지형 속에서 3년 전 대선 패배의 설욕을 벼르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의 파면을 교두보로 삼아 반드시 정권 교체를 완수한다는 것이다. 비상계엄에 반대하는 여론이 다수였던 만큼, 좌우 이념 대결이 아닌 '민주 대 반(反)민주' 구도로 선거를 치르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는 게 민주당의 분석이다. 국민의힘과 달리 민주당은 이 대표가 차기 대권주자로서 당내 압도적 우위를 확보한 가운데, 후보 경선에서도 독주 채비를 갖췄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일찌감치 형성된 '이재명 대세론'이 대선까지 유지될 것이라는 데 큰 이견은 없어 보인다. 이 대표가 지난달 26일 공직선거법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으면서 대권가도의 가장 큰 장애물이 제거된 상황이기 때문이다. 1심과 마찬가지로 2심에서도 의원직 상실형이 나왔다면 대세론에 제동이 걸릴 수 있었겠지만, 2심의 무죄 판결로 이 대표는 기사회생했다. 김동연 경기지사,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두관 전 의원 등 비명(비이재명)계 주자들의 행보도 주목된다. 이들은 지난 대선에서 '이재명 카드'가 실패했다는 점을 앞세워 견제·연대에 나설 수 있지만, 현재로서는 이 대표의 독주를 추격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지지율을 확보하지 못한 상황이다. 다만, '일 대 다(多)' 구도 속에 치러질 경선이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놓고 진흙탕 싸움 양상을 보이면 오히려 중도층을 멀어지게 만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유용화 한국외대 초빙교수는 통화에서 "기존 야권에서는 내란 세력 진압에 이은 정권교체가 시대적 사명"이라며 "경선을 얼마나 건강하게 치러내느냐가 관건일 것"이라고 말했다. '통합 원샷 경선'을 요구하는 조국혁신당 등 다른 당 후보들과 단일화를 이뤄낼지도 남은 변수라고 할 수 있다. 파면된 윤 전 대통령을 배출한 국민의힘은 이번 조기 대선에서 '핸디캡'을 안고 시작하게 됐다. 국민의힘은 비상계엄에 대한 부정적 여론, 당 소속 대통령이 두차례 연속 파면됐다는 정치적 부담을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조기 대선의 최대 과제다.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때와 달리 보수층이 응집력을 보였지만, 선거의 승패를 가를 중도·무당층을 흡수하는 데는 한계를 노출한 딜레마적 상황이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윤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했던 당이 조기 대선에 참여한다는 부정합성"도 있다면서 "중도층 표심을 어떻게 설득할지 고민스러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은 조기 대선을 이끌어갈 동력을 민주당 이재명 대표에게서 찾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여론조사에서 대선후보 지지도 1위를 달리는 이 대표가 공직선거법 항소심에서 무죄를 받긴 했지만, 남은 사법 리스크 등을 앞세워 '반(反)이재명' 정서 결집을 노릴 전망이다. 국민의힘 대권주자들은 저마다 '이재명 대항마'를 자처하며 몸풀기에 나섰다. 여론조사 상 당내 주자 중 선두로 나선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을 비롯해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한동훈 전 대표, 안철수 의원, 유승민 전 의원 등이 꼽힌다. 이들은 '87년 체제' 극복을 위한 개헌을 약속하면서 이 대표를 포위 공격하는 동시에, 치열한 당내 경선을 거치면서 '컨벤션 효과' 극대화를 노릴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대표 출신으로 대권 도전을 선언한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이 보수 진영의 표를 얼마나 가져갈지, 그가 국민의힘 후보와 단일화할지도 주목할 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