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11 05:12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람들

김영우 전북수산기술연구소 연구사 "토하 양식기술 확보⋯내수면 양식산업 경쟁력 강화"

"한국 젊은 층인 소위 'MZ세대'(1980∼2000년대 초 출생)는 민물고기를 잘 먹지 않습니다. 가시가 많다, 비린내가 난다는 등의 선입견 때문이죠. 그러다 우연히 민물새우(토하)를 접하게 됐습니다. 토하는 민물고기에 비해 비교적 거부감이 적고, 각종 레시피의 부재료로 다양한 가공 기술 접목이 가능합니다. 토하 양식기술 확보로 전북의 내수면 양식산업 경쟁력을 키우는 데 일조하고자 합니다." 전국 최초로 토하 양식기술 3건을 특허 등록한 전북수산기술연구소 김영우(33) 연구사는 "토하 양식이 어업인들의 새로운 소득원이 되길 바란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연구사는 "양식기술은 선별, 성숙, 육성, 수확 등 크게 4가지로 이뤄져 있다. 특허 등록이 완료된 3건은 선별, 성숙, 수확에 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특허 기술은 토하(새뱅이) 고유 습성을 활용한 선택적 선별 장치 및 방법, 대량 생산을 위한 성숙 및 포란 유도 방법, 노동력 절감을 위한 맞춤형 대량 출하 포획 방법이다. 토하는 민물새우를 총칭하는 표현으로 지역별로 4~7종이 존재한다. 민물고기 대비 거부감이 적고 국내 수요가 높은 품종이지만 대부분을 어획에 의존하고 어획량도 적어 전국에 소매 유통된다. 김 연구사는 대량 생산이 가능한 토하(새뱅이)를 단일 품종으로 선택해 2019년부터 3년간 집중적으로 시험·연구해왔다. 김 연구사는 "새뱅이는 동종을 포식하는 공식 현상이 적어 고밀도 사육이 가능하고, 동물성 단백질 요구량 또한 적어 배합사료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현재는 '육성'에 관한 토하 양식기술 특허 출원을 준비 중이다. 이를 위해 올해 초부터 민간 양식 현장을 반영한 대규모 실증시험 연구를 하고 있다. 김 연구사는 "도 자체 시설에서 소규모 양식 실증시험을 완료했지만, 민간 보급을 위해 330㎡(약 100평) 규모의 대규모 양식 실증시험을 진행하고 있다"며 "기술 안정성, 사업성을 확보해 해당 기술을 이달 말께 특허 출원할 계획"이라고 했다. 그는 "이러한 기술 보급으로 누구나 쉽게 토하 양식에 접근하도록 돕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전북의 내수면 양식 면적은 268㏊로 전국 전체 면적 832㏊의 32.3%를 차지한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다.

  • 사람들
  • 문민주
  • 2022.10.13 19:13

미국 시애틀 워싱턴주 한인회장단 전주방문… 교류협력 논의

고국을 떠나 머나먼 이국땅에서 생활하는 재외동포들이 가장 한국적인 도시 전주를 찾아 전통문화를 체험했다. 전주시는 13일 유영숙(미국명 영 브라운) 회장과 이수잔 이사를 비롯한 미국 시애틀 워싱턴주 한인회장단이 전주를 방문했다고 밝혔다. 시애틀 워싱턴주 방문단은 지난 5월 전주시와 국제교류증진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한인회 회장을 중심으로 꾸려졌으며, 관광거점도시인 전주시와 교류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전주를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우범기 전주시장은 전주시청에서 이들을 맞이하고 전주시 현황 등을 소개했다. 또한 시는 전주를 찾은 한인회장단에 세계적인 미디어들이 줄곧 보도하고 있는 대한민국 대표문화도시이자 관광도시 전주를 소개하고, 미국으로 돌아가 세계를 향해서 발돋움하고 있는 전주를 응원해 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특히 고국의 문화를 잊은 한인 2세대, 3세대 등 차세대 한인들에게 전주에 대한 홍보를 부탁하기도 했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한류의 뿌리를 가지고 있는 이곳 전주는 500년 역사 조선왕조의 발상지로 전라도의 빛나는 중심지였다”며, “관광거점도시인 전주에서 추진 중인 조선궁원 프로젝트 및 다양한 축제와 페스티벌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시고, 재외동포들에게 자랑스러운 도시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 사람들
  • 천경석
  • 2022.10.13 17:10
사람들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