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12 02:24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정읍

군산·정읍시의회, 내년도 본예산 확정

군산시의회(의장 박정희)가 지난 15일 제5차 본회의를 열고 36일간의 일정으로 진행된 제206회 제2차 정례회를 모두 마감했다.이번 제2차 정례회에서는 2018년도 예산심의를 비롯해 2017년도 행정사무감사, 결산추경, 건의문, 5분 자유발언, 각종 부의안건 등을 처리했다.시의회는 이날 집행부에서 요구한 9792억원 중 상임위별로 예비심사를 거쳐 올라온 2018년도 예산안에 대해 심도있는 심사와 계수조정을 거쳐 총 14건에 27억6800여만원을 삭감해 내부유보금에 계상 조치했다.이날 승인된 내년 본예산은 9764억 3000여만원으로 전년도보다 9.1 %(888억 3000여만원)가 증액됐다. 박정희 군산시의회 의장은 “이번 정례회 기간 예산안 심사 등 바쁜 일정을 소화해준 의원들과 의사 진행에 적극적으로 협조해준 공무원들에게 감사드린다”면서 “시의회는 시민의 작은 소리에도 귀 기울이는 열린 의정으로 신뢰받는 의회를 구현하겠다”고 말했다.또한 정읍시 2018년도 본예산 7413억474만5000원이 지난15일 제228회 정읍시의회 제2차 정례회 제5차 본회의에서 의결됐다.정읍시의회(의장 유진섭)는 2018년도 본예산 36건 52억7345만원을 삭감하고 8건 20억3920만원을 증액하여 최종 확정했다.이날 제5차 본회의에서는 자치행정위원회(위원장 조상중)소관 정읍시 행정기구설치조례 일부개정조례안과 정읍시 지방공무원정원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승인했다.또 2017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은 8313억9779만8000원으로, 2018년도 기금운용계획은 806억7049만원으로 확정했다. 군산=문정곤

  • 정읍
  • 문정곤
  • 2017.12.18 23:02

[정읍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 최종 선정] 정읍지역 특화산업 육성 등 추진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2017년 도시재생 뉴딜시범사업 공모에서 정읍시가 중심시가지형대상지로 최종 선정됐다.정읍시는 내년부터 2022년까지 국비 150억원을 포함하여 총사업비 250억원을 투입해 지역특화산업(떡차면술)으로 살리는 시민경제도시, 정읍을 비전으로 관련 사업 추진에 나선다.시 도시과에 따르면 사업은 크게 △지역특화산업 육성 △원도심 활력 증진과 일자리 창출 △메이플케어 행복정읍 기반 구축 △역량 강화와 상생기반 구축사업을 축으로 추진된다.특히 시는 본격적인 도시재생사업 추진을 위해 2018년 조직개편을 통해 전담조직인 도시재생과로 명칭을 변경하고 수성동 제일은행옆에 현장지원센터도 설립할 방침이다.이번 공모사업 선정은 그동안 도시재생지원센터 설립과 도시재생활성화 지원조례 제정, 주민협의체 구성, 도시창안대회 개최 등을 통해 사업 추진 기반을 다지며 주민역량을 높여온 결과로 평가되고 있다.김생기 시장은 시와 시민들이 지역발전을 위해 머리를 맞대고 고민한 끝에 발굴한 사업이 국가공모사업에 선정되는 결실을 거뒀다며성공적인 사업 추진으로 시민 모두가 상생하면서 지역이 조화롭게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정읍
  • 임장훈
  • 2017.12.18 23:02

정읍시, 농산어촌개발 공모 최종예비지구 선정

정읍시가 농림축산식품부 주관으로 추진하는 2019년도 일반농산어촌개발 공모사업에 대비해 지난 11일 공모대상 예비지구 자체 평가회를 갖고 최종 예비지구를 선정했다.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평가회에는 신청지역 100여명의 추진위원과 주민, 담당공무원이 참여한 가운데 주민 주도로 작성된 예비사업계획서에 대한 발표와 전문가 심사 등 자체 심사를 가졌다.앞서 시는 지난 5월까지 읍면과 마을을 대상으로 접수를 받았는데 △기초생활거점 육성사업에 입암면과 칠보면이 신청했고 △마을만들기에는 북면 평촌마을, 소성면 모촌과 보화마을, 영원면 신기마을, 칠보면 원반마을이 사업 참여를 희망했다.평가회를 거쳐 기초생활거점지구로 입암면과 칠보면 2개 지구, 마을만들기에는 북면 평촌과 소성 모촌, 영원 신기마을 모두 3개 마을을 최종 예비지구로 선정했다.시는 이들 최종 선정지구와 마을을 대상으로 2019년도 일반농산어촌개발 공모사업에 참여할 예정으로, 전라북도와 농림축산식품부의 사업성 평가 등을 거쳐 최종 선정되게 된다.시는 자체 선정된 최종 예비지구들이 내년도 사업에 꼭 선정될 수 있도록 이달부터 주민과 컨설팅, 행정과의 협력적인 시스템을 구축해 사업내용을 보완해 나갈 예정이다.또 연말까지 지역주민과 공무원의 역량강화 합동 워크숍 실시와 지역 개발 전문가의 사업계획 수립 지원 등 공모 준비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한편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지난 2010년도부터 지원하는 사업이다. 농촌지역의 주민소득과 기초생활 수준을 높이고, 농촌의 어메니티(amenity) 증진 과 계획적인 개발을 통해 농촌 인구를 유지하고 지역특화 발전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 정읍
  • 임장훈
  • 2017.12.13 23:02

정읍시 "2기분 자동차세 납부 잊지 마세요"

정읍시는 2기분 자동차세 납부기간이 16일부터 31일까지로 납기일을 넘기면 가산금 부과 등 불이익을 받게 되는 만큼 반드시 납기 내 납부를 당부했다.세정과에 따르면 자동차세는 12월 1일을 기준으로 자동차등록원부 상 소유자에게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과세기간에 대해 부과하게 된다.단, 연세액이 10만원 이하 경우에는(경형승용차나 화물과 승합자동차) 지난 6월 1기분에 전액 부과돼 12월에는 부과되지 않는다.납부기한 경과 시마다 3%의 가산금이 가산된다. 또 자동차세 본 세액이 30만원 이상인 경우에는 매월 1개월마다 1.2%의 중가산금이 60개월 간 추가되며 번호판 영치나 재산압류 등의 불이익을 받게 된다.자동차세는 전국 모든 은행 및 우체국에서 납부 가능하다.CD/ATM에서 현금카드(통장) 또는 신용카드를 이용하거나 위택스(www.wetax.go.kr)나 가상계좌 등을 통해 납부할 수 있다.또한 스마트폰으로 전국 모든 자치단체의 지방세 및 세외수입을 조회하고 납부할 수 있는 스마트위택스 앱서비스를 이용해도 된다.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위택스(www .wetax.go.kr)에서 회원으로 가입한 후 스마트위택스 앱을 다운받고, 공인인증서를 이동시킨 후(PC스마트폰) 앱을 실행하여 로그인하면 된다.

  • 정읍
  • 임장훈
  • 2017.12.12 23:02

"옥정호 수상 레저단지 영향평가 용역 추진 중단하라"

정읍시의 식수원인 옥정호 수면개발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15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안전한 식수원 확보를 위한 정읍시민대책위(시민대책위)가 지난 3일부터 정읍시청 앞 잔디광장에서 천막농성에 돌입했다.시민대책위에 따르면 지난11월27일 전라북도청에서 옥정호 수상레저단지 영향평가 용역 추진을 위한 옥정호민관협의체가 강행되어 회의장 앞에서 정읍시 민간위원 동의없이 명단제출된 협의체는 무효라고 항의하고 옥정호 민관협의체 위원장 및 도청 담당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시민대책위 관계자는 옥정호 수상레저단지 용역을 반대하는 시민 4700여명의 서명민원을 전라북도에 제출하고 항의집회와 수차례 면담을 통해 현 용역 추진의 절차와 내용상 문제를 지적했지만 정읍시장이 합의한 사안이니 정읍에서 해결하라는 답변만 들었다고 밝혔다. 이어김생기 시장이 분명하게 용역 중단을 표명하고 제대로된 종합식수대책 먼저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반면에 정읍시는 지난 11월 21일 보도자료를 통해 정읍시민들이 먹는 수돗물은 옥정호 물을 칠보취수구에서 취수하여 옹동 산성정수장에 보내 정수 및 소독과정 등을 거쳐 수도꼭지를 통해 각 가정에 공급되고 있다며 옥정호 상수원 관리에 만전을 다하고 있다는 입장이다.또 옥정호 상수원은 시민들이 먹는 수돗물의 원수를 제공하는 중요한 자원으로, 옥정호 수면을 이용한 레저사업 등에 대해서는 정읍시에서 이미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듯이 앞으로도 시민들과 함께 적극 대처해 나갈 것이며 중장기적으로 시민들에게 깨끗하고 질 좋은 수돗물 공급을 위하여 한국수자원공사와 정읍시는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이와 관련 정읍시의회는 지난7일 제228회 제2차 정례회 3차 본회의에서 옥정호 수면이용및 개발 반대 건의안을 채택했다.시의회는 건의안에서 정읍시민의 유일한 상수원이자 생명줄인 옥정호에 배를 띄우고 수상스키와 각종 편의시설을 조성하는 수면이용 사업은 정읍 시민들이 믿고 먹고 마시는 물에 대한 불신과 시민들의 분노를 유발하는 행위다며 옥정호 물을 12만 정읍시민들이 믿고 마실 수 있고, 깨끗하게 보존하여 후손에게 물려 줄 수 있도록 △옥정호 민관협의체에서 추진하는 「옥정호 수면이용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조사 용역」을 즉각 중단하고 △12만 정읍시민들의 식수원 종합대책을 먼저 제시하라고 촉구했다.

  • 정읍
  • 임장훈
  • 2017.12.11 23:02
지역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