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11 03:20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교육

전북 국·공립유치원 CCTV '1%'

아동학대와 안전사고 예방 등을 위해 유치원 내 CCTV 설치 요구가 증가하는 데 반해 전북지역 국공립 유치원 교실 100곳 중 99곳에는 CCTV가 없었다.반면 사립유치원은 10곳 중 8곳 이상의 교실에 CCTV가 설치돼 있었다.26일 국민의당 유성엽 국회의원(정읍고창)이 교육부에서 받은 유치원 내 영상정보처리기기 설치 현황에 따르면 올해 2월 말 현재 전북지역 559개 공립유치원 교실 중 CCTV가 설치된 곳은 6곳(1.07%)에 불과했다.이 같은 설치율은 전국 17개 시도 중 전남(0%)에 이어 두 번째로 적다.반면 전북지역 사립 유치원 교실은 상황이 반대였다. 전북지역 사립 유치원 1,011곳 중 CCTV가 설치된 곳은 837곳(82.79%)이었다. 설립 주체에 따라 설치율이 크게 차이가 나는 셈이다.유성엽 의원은 전국적으로 국공립 유치원 교실 내 CCTV 설치율이 낮지만, 그 가운데서도 전남, 전북, 광주 지역은 더욱 낮은 수준이라며 국공립유치원 교실 내 CCTV 설치율 제고를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유 의원은 이어 논의 과정에서 교권침해 등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 아동과 교사의 기본권 모두를 보장할 수 있는 지혜를 발휘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교육부는 현행법상 교실 내 CCTV 설치는 의무사항이 아니며, 인권 침해 등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교사학부모 등 해당 정보주체 전원의 동의를 거쳐 자율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하지만 교육부의 유치원 안전사고 현황을 보면 2012년 6,378건이었던 안전사고 건수가 지난해 7,722건으로 21% 증가했다.

  • 교육일반
  • 박영민
  • 2016.09.27 23:02

전북지역 학교 보건교사 배치율 57.1%…인력확보 시급

최근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안전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전북지역 보건교사 배치율은 57.1%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선 학교에서 지진 등 안전대비 교육을 담당하는 보건교사 등 안전 전문인력 확보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유성엽 의원(국민의당)은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보건교사 배치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1만1733개교 중 보건교사가 배치된 학교는 69% 수준인 8097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서울(93.8%), 부산(90.3%), 대구(84.3%) 등 주요 광역자치단체의 보건교사 배치율은 비교적 높은 반면, 전북(57.1%)을 비롯한 세종(40.6%), 전남(55.2%), 강원(55.6%) 등 10개 지역의 배치율은 평균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학교보건법(제15조 제2항)에 따르면 일정 규모 이상 학교에 보건교육과 학생 건강관리를 담당하는 보건교사를 두도록 돼 있다. 하지만 대부분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법정 정원조차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유성엽 의원은 지방의 경우 보건교사 배치율이 60%에도 미치지 못해 제대로 된 안전교육이 이뤄지는지 우려된다며 지진 등 안전대비 교육에 대한 전문 인력을 확보하고 보건교사를 확대 배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 초중등
  • 김태경
  • 2016.09.27 23:02

전북지역 누리교사 "집단 결근투쟁하겠다"

전북지역 어린이집 누리교사들이 누리과정(만 3~5세 무상보육) 예산문제 해결을 촉구하며 집단 결근 투쟁을 예고했다. 이에 따라 어린이집연합회도 교사들의 집단행동 기간에 누리반에 대해 임시휴원을 하겠다고 밝혔다.전북어린이집연합회는 26일 전북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북지역 약 1500명의 어린이집 누리교사들이 올 4월부터 처우개선비를 받지 못해 생활고에 시달리던 중 200명의 교사가 일을 그만둬야 했다며 누리교사들은 정부와 교육청, 도청, 도의회 등에 요구한 생존권 보장과 처우개선 문제가 이번 달 내로 해결되지 않을 경우 10월 4일부터 7일까지 1차 집단 결근 투쟁을 강행하겠다는 입장이다고 밝혔다.연합회는 교사들의 집단 결근투쟁 기간에는 어린이집에서도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부득이하게 누리반에 대한 임시 휴원을 할 예정이다고 덧붙였다.현재 전북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누리교사는 1583명으로, 지난 3월 1801명에서 218명이 실직하거나 이직을 한 상태다. 이들은 누리과정 운영비 미지원으로 올 4월부터 현재까지 월 30만 원의 처우개선비를 받지 못하고 있다. 6개월간 1인당 180만 원의 임금이 체불된 셈이다. 누리교사들은 오는 30일까지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집단 결근으로 맞서겠다고 나섰다.연합회는 누리과정 예산 문제로 올해만 전북지역 어린이집 50곳이 운영난 속에 폐원했다며 이 중 누리반을 운영하던 시설 20곳이 포함돼있어 현 상태가 지속된다면 폐원하는 어린이집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연합회는 누리과정 예산편성 책임 주체에 대해 따지는 일보다 어린이집 아이들과 학부모, 교사들의 고충을 먼저 생각해달라며 누리과정 전액 편성이 어렵다면 월 7만원의 누리운영비라도 긴급 지원해 보육대란의 급한 불을 꺼야 한다고 촉구했다.

  • 교육일반
  • 김태경
  • 2016.09.27 23:02

전주대 프라임사업 탈락 '후유증'

교육부가 주관하는 프라임(PRIME산업연계교육 활성화 선도대학) 사업에 신청했다가 탈락한 전주대가 교육부 대면평가에 참석했던 당시 교수회장을 징계위원회에 회부하면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역대 최대 규모의 대학 재정지원 사업으로 올해 대학가의 가장 큰 이슈가 된 프라임 사업은 인문학 및 예체능계 정원 축소와 산업 수요에 맞는 이공계 정원 확대를 핵심으로 하는 대학 구조조정 지원 사업이다. 전국 각 대학은 구성원 합의 절차 등을 놓고 사업 신청 및 심사과정에서 심각한 갈등을 빚었다.전주대 학교법인(신동아학원)은 지난달 26일 김승종 전 교수회장에게 교원 징계의결 요구 알림공문을 보낸 후 이달 13일께 제1차 교원징계위원회를 열었다. 앞서 전주대는 논란 끝에 교원조사위원회와 인사위원회를 거쳐 김 교수에 대한 징계를 법인에 제청했다. 사업 탈락의 책임 문제와 맞물려 후유증이 계속되고 있는 셈이다.대학 측은 김 교수가 당시 교수회장 자격으로 지난 4월 19일 열린 교육부의 프라임 사업 대면평가에 참석해 사업에 반대한다는 취지에서 사실과 다른 발언을 했다는 점 등을 징계 사유로 들었다.대학본부 관계자는 23일 학과 구조조정 안건을 논의한 구조개편위원회에서 누구도 프라임 사업에 반대하지 않았는데도 김 교수가 교육부 대면평가 석상에서 사실과 다른 발언을 했다면서 김 교수가 교수회장 자격으로 참석했는데도 전체 교수들의 의견 수렴 절차를 밟지 않고 사업에 반대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문제가 됐다고 말했다.이에 대해 김 교수는 다른 대학과 달리 프라임 사업 신청 과정에서 교수와 학생 등 학내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실질적인 논의와 합의절차가 없어 이에 대한 소신 발언을 한 것이라고 반박했다.김 교수는 학칙기구인 교수회에 교육연구 등 주요 사안에 대한 심의권이 있는데도 대학본부에서 프라임 사업과 관련해 단 한 번도 교수회나 대학평의회에 심의자문을 요구하지 않았다며 개인의 이득을 취하거나 법을 위반한 게 아닌 만큼 중징계 의결은 부당하다고 밝혔다.김 교수는 또 지난 7월 초 교무위원회에서 교수회의 권한과 기능을 대폭 약화시킨 학칙 개정안이 통과됐다면서 이번 논란이 교수회를 무력화시키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는 것도 문제다고 덧붙였다.한편 교육부는 지난 5월 3일 프라임 사업 지원 대상으로 전국 21개 대학을 선정발표했고, 전북지역에서는 원광대와 군산대가 포함됐다.

  • 대학
  • 김종표
  • 2016.09.26 23:02

누리예산 갈등 심화될듯

교육부가 다음 달로 예정된 2017년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예정교부 때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을 편성하지 않은 전북 등 3개 시도교육청에 대해 미편성분 만큼 보통교부금을 감액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전북교육청이 법적 대응을 검토하겠다며 팽팽히 맞서고 있다.교육부는 22일 전북과 경기강원 등 3개 교육청이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을 편성하지 않을 경우,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 규정 및 다른 교육청과의 형평성을 고려해 다음 달 2017년 보통교부금 예정 교부 때 감액 교부하겠다고 밝혔다.이에 따라 전북교육청에는 원래 교부 예정 금액에서 올해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 미편성분인 813억원을 뺀 금액이 교부된다.이에 대해 정옥희 전북교육청 대변인은 교육부에서 실제 내년 교부금을 감액한다면 법적 대응을 위한 본격적인 검토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김승환 전북교육감도 지난 19일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정부가 교부금을 감액한다면 법적 대응을 검토하겠다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누리과정 예산을 놓고 교육부과 전북교육청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다음 달 7일로 예정된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전북교육청 국정감사에서도 이 문제가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 교육일반
  • 김태경
  • 2016.09.23 23:02

전북지역 대학 수시모집 경쟁률 전년과 비슷

전북대와 원광대우석대 등 전북지역 주요 4년제 대학이 21일 2017학년도 수시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대체로 5~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해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전북대는 2139명 모집에 1만4347명이 지원해 평균 6.71대 1로 전년(6.29대 1)보다 경쟁률이 소폭 상승했다. 전형별로는 학생부 종합전형이 6.03대 1, 학생부 교과전형은 7.03대 1로 집계됐다.관심을 끈 의예과는 일반전형에서 10명 모집에 368명이 몰려 36.8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치의예과 일반전형 경쟁률은 18.5대 1로 나타났다.원광대는 3025명 모집에 1만7607명이 지원해 전년(5.52대 1)보다 높은 평균 5.82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학과별로는 8명을 모집한 일반전형 한의예과에 508명이 지원해 63.5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고, 학생부 종합전형 경찰행정학과에는 6명 정원에 258명(43대 1)이 몰렸다.특히 2017학년도부터 개편되는 창의공과대학의 경쟁률은 학생부 종합전형에서 전기공학과 7.92대 1, 기계공학과 14.43대 1, 스마트자동차공학과 9.14대 1 등으로 나타났다.우석대 전주캠퍼스는 1064명 모집에 5541명이 지원해 5.2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이 대학은 학생부 종합전형에서 군사학과가 12.9대 1로 경쟁률이 가장 높았으며 한약학과 7.8대 1, 외식산업조리학과 9.63대 1, 소방안전학과 8.3대 1로 집계됐다. 또 지역인재 전형에서는 한의예과가 11.4대 1의 경쟁률을 보이며 전통적인 강세를 이어갔다.전주대는 2144명 모집에 1만2244명이 원서를 내 평균 5.71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전형별로는 학생부 종합전형 슈퍼스타전형의 간호학과(29.18대 1)와 물리치료학과(19.13대 1), 경찰행정학과(14.33대 1) 등이 인기를 끌었다.또 군산대는 1221명 모집에 5564명이 지원해 평균 4.5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호원대는 1116명 정원에 1만153명이 원서를 내 평균 9.1대 1의 경쟁률을 보인 가운데 실용음악학부의 경우 32명 모집에 3750명이 지원, 경쟁률이 117.19대 1에 달했다.앞서 지난 19일 수시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한 전주교대는 65명 모집에 503명이 지원해 전년(10.51대 1)보다 다소 낮은 7.74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 대학
  • 김종표
  • 2016.09.23 23:02

'한국식 나이' 계속 써야 할까

■ 주제 다가서기일상생활에서 쓰이는 나이와 행정?법률적 나이를 섞어 쓰고 있어서 우리는 혼란스러울 때가 있다. 사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거의 유일하게 한국식 나이 셈법을 쓰고 있다. 예를 들어, 12월 31일 태어난 아이는 다음 날 2살이 된다. 반면 한국식 나이를 계속 사용하자는 쪽은 어머니 뱃속에 있을 때부터 사람으로 존중해 한 살로 계산하는 좋은 관습이라거나 지금껏 사용한 한국식 나이를 만 나이로 고치면 혼란스러울 것이라고 주장한다.과연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함께 대화와 토론을 통해서 이 문제를 살펴보도록 하자.■ 신문 읽기(자료 기사)〈읽기 자료1〉행정문서?법률적으론 만 나이 통일, 국민들 관습적 사용법 강제 어려움한 살이라도 젊어 보이려고 안간힘을 쓰는 한국인들이 왜 나이 계산할 땐 한두 살 더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한국 나이는 생일을 무시하고 생년으로만 계산하기 때문에 비정상적이고 불공평한 나이계산법입니다.포털사이트 다음의 아고라 게시판에는 이처럼 ㉠한국식 나이 셈법에 대한 불만의 글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특히 해가 바뀌고 나이 한살 또 먹는 1월이 되면 유독 더 눈에 띈다. 2월에도 빈도는 약간 줄지만, 여전하다.일각에서는 청원 운동도 일어나지만 법적으로는 이미 만 나이로 통일이 된 상태다. 국민들이 문화적관습적 차원에서 쓰고 있는 것을 강제할 수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일부 미비한 법률 용어를 고치는 것을 제외하면 정부 차원의 캠페인을 통해 국민들 스스로 바꾸는 것이 대안으로 제시된다.누리꾼 A 씨는 한국인들만 유독 새해가 되면 나이가 올라간다고 착각한다.며 외국에선 매년 1월 1일이 아니라 생일을 기준으로 나이가 올라간다. 새해가 됐다고 해서 나이 먹는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태어나자마자 한 살로 치는 우리의 독특한 나이 셈법 때문에 한국인들은 외국인보다 적게는 한살, 많게는 두 살 먼저 나이를 먹게 된다.이 때문에 왜 한국에서 태어났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외국인보다 나이를 빨리 먹어야 하나?, 불공평한 관습은 고치는 것이 정답이다는 등의 불만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높다.누리꾼 B 씨는 우리나라는 가뜩이나 나이에 민감하고 나이 때문에 제약이 많은데 한두 살 차이는 정말 크다고 밝혔다.단순히 나이 먹는 것이 싫어 늘어놓는 푸념 수준을 넘어 행정적법률적으로 나타나는 모순을 지적하는 글들도 올라온다.누리꾼 C 씨는 공문서나 보험문서 등에선 만 나이를 적용한다며 왜 실생활에선 한국 나이를 적용하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D 씨도 병원 진료내역서나 약봉지도 모두 만 나이가 기재된다. 만 나이가 개인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주는 정확한 지표라고 보는 것이다며 한국식 나이 셈법이 가져올 수 있는 문제와 병폐를 지적했다.만 나이와 한국식 나이를 함께 사용하다보니 외국인들에게 몇 살이라고 설명해야 할 지 난감하다는 의견도 나온다.하지만 온라인 게시판에선 한국식 나이를 고수해야 한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엄마 뱃속에 있는 기간을 인정해 태어날 때부터 한살을 인정해주는 우리만의 전통을 지켜야 한다.는 것이 이들 주장의 요지다.이처럼 실생활에선 여전히 한국식 나이가 만 나이보다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지만 사실 법에선 만 나이를 공식적으로 쓰도록 돼 있다. 재판에서 미성년자 여부를 가리는 기준도 만 나이에 기초한다. 따라서 한국 나이를 쓰는 건 엄밀히 보면 법에 어긋난 것이다. 하지만 법보다 오랫동안 내려온 관습이 더 앞서고 있는 실정이다.이 때문에 아고라에는 나이 셈법을 만 나이로 통일하자는 주장이 줄을 잇는다. A 씨는 정부가 도로명 주소를 적극 홍보한 것처럼 만 나이 사용 의무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정부 차원의 캠페인을 적극 주장하고 있다.대형 로펌에 근무 중인 한 변호사는 법적 나이는 사실상 만 나이로 모두 통일이 돼 있다.며 다만 사회적으로 대인관계에서 나이를 계산할 때 이런 법적 나이로 계산을 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이어 결국엔 법과 제도를 추가로 손질하기보단 문화 캠페인을 통해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다만 이미 법적으로 만 나이로 통일이 된 상태에서 특별한 법적 강제 수단은 없어 보인다. 일부 미비한 법률상 용어라도 제대로 통일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또 다른 민사 전문 변호사는 2013년 7월 1일 개정된 민법 제4조를 보면 성년의 나이에 대해 이전에는 만 20세로 표기했던 것에서 만자가 없는 그냥 19세로 바뀌었다며 법률적으로 나이를 셀 때는 숫자만 쓰여져 있어도 당연히 만 나이로 계산함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개정안이다고 했다. 그는 이처럼 법률적으로 만 나이를 쓰는 것으로 다들 동의하고 사용하고 있지만 청소년보호법 등 일부 법률에서는 아직도 만 19세로 따로 표기하고 있는 만큼, 사소한 부분이지만 법률 용어적으로 통일할 필요성은 남아 있다고 했다.〈출처 : 헤럴드경제 2016-02-17 04면 김현일김진원 기자〉〈읽기 자료2〉나이 계산 만 나이로 바꾸어야 할까요?△찬성 : 복수 나이로 인한 각종 혼란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만 나이를 찬성하는 사람들은 특정 인물의 정확한 나이가 모호해지고, 해외에서는 각종 공문서에 나이를 착각해 잘못 기재하는 일도 비일비재하다고 주장한다. 여기에 12월31일에 태어난 아기가 하루 만에 두 살이 되고, 빠른 나이 출생자들의 서열 정리가 모호해지는 경우도 빼놓을 수 없다는 것이다. 특히 상급학교에 진학하거나 사회생활을 하면서 만난 사람끼리 빠른 생일을 포함해 입학연도의 기준학번, 입사연도 기준의 사번 등까지 고려해 호칭 및 서열 정리를 하다보면 진이 다 빠질 지경이라는 지적이 적지 않다.이창원 한성대 행정학과 교수는 한 방송 인터뷰를 통해 사람은 하나인데 그 사람의 나이가 중복으로 몇 개나 되는 것은 혼란스럽고 복잡하고 한 번 설명할 것을 몇 번이나 설명하게 되고 그러다 보면 공공부문 일 처리에서도 시간과 비용이 발생한다.며 만 나이로 통일할 것을 주장했다. 그는 중국 일본은 물론 북한조차 이제는 한국에서 쓰는 세는 나이 대신 만 나이를 쓰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단순히 사회적 현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법률적인 혼란까지도 발생한다며 시급히 바꿔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다.내과 의사 중에도 만 나이에 찬성하는 이들이 있다. 연희동 K내과 원장은 우리 나이로 진료하면 오진과 잘못된 처방을 할 수도 있다는 태도다. 주사나 투약 기준은 만 몇 세부터 만 몇 세는 몇 ㎜라는 식으로 해야 하는데, 우리 나이를 사용하다가는 매우 위험한 일이 생길 수도 있다고 강조한다. 한 네티즌은 한국식 나이가 서열 정리를 위한 잔재라면 외국처럼 만 나이를 쓰겠다.고 찬성 의견을 밝혔다.△반대 : 전통 중 하나인데 무조건 다른 나라를 따르는 건 문제반대하는 이들은 한국식 나이 계산은 그 자체로 오랜 한국의 문화 중 하나이고 지금까지 큰 불편 없이 사용해왔는데 단지 다른 나라가 우리와 다르게 계산한다는 이유만으로 하루아침에 없애자는 것은 지나치다고 주장한다. 만 나이를 쓰자는 사람들은 1월1일에 나이 하나를 더 먹는 나라는 한국뿐이라고 하지만 설날 아침에 나이 한 살을 더 먹었다며 떡국을 먹는 것은 우리 고유의 풍습인데 이를 꼭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최영갑 성균관 유교방송 대표는 한 방송에 출연해 이는 결국 인간의 생명을 언제부터 인정하느냐의 문제와 직결돼 있다며 어머니 배 속에서 10달 동안 있는 시간을 인간으로 인정하는 기간이기 때문에 나오자마자 바로 1살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외국인들이 한국인의 나이에 대해 어렵게 생각할 수는 있지만 이는 문화적 차이 때문에 생기는 혼선으로 그것이 꼭 나쁘다 좋다 또는 어떤 사회적 비용이 지나치게 많다는 식으로 보는 것은 잘못됐다.고 지적하기도 했다.현행 나이를 유지하는 쪽에서는 여론조사 결과도 인용한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전국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한국식 나이에 대한 국민 여론을 물은 결과, 한국식 나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46.8%, 만 나이로 통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44.0%로 두 응답이 오차범위(4.3%p) 내에서 팽팽한 것으로 조사됐다. 잘 모름은 9.2%였다. 비록 오차범위 내이지만 만 나이로 바꾸자는 의견이 결코 다수가 아니라는 것이다. 〈출처 : 한국경제 2016-02-29 s11면 김선태 한국경제논설위원〉■ 생각 열기△〈읽기 자료1〉을 읽고, ㉠한국식 나이 셈법은 무엇인지 다른 사람에게 설명해 봅시다.△〈읽기 자료1,2〉를 읽고, 자기 나이를 한국식 나이로는 몇 살이고 법적 나이로는 몇 살인지 계산하여 봅시다.△뉴스 리터러시 시리즈(뉴스를 보는 힘을 키워요)〈읽기 자료2〉의 ㉡은 여론조사를 인용한 부분이다. 이렇게 인용하는 경우 꼭 밝혀야 할 것이 있는데 어떤 것이 빠져 있는지 아래 자료와 비교하여 찾아봅시다.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북한 4차 핵실험 영향으로 5주 만에 상승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고 여론조사 전문 업체 리얼미터가 11일 밝혔다.리얼미터가 지난 4~8일 전국의 성인 유권자 2518명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2.0%포인트) 결과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전주보다 2.1%포인트 상승한 44.6%를 기록했다. 반면 국정수행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51.0%로, 전주보다 2.0%포인트 하락했다. 나머지 4.4%는 모름 혹은 무응답이었다.박 대통령의 지지율 상승은 지난주 북한 4차 핵실험에 따른 안보 불안감 고조로 중도보수층의 일부가 지지층으로 재결집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리얼미터는 분석했다.〈출처 : 전북일보 2016-01-12 2면〉■ 주제 관련 신문기사 더 보기△ 한국식 나이 계속 써야 할까? / 어린이동아 2016-02-23 2면△우리 관습 vs 세계 흐름 안 맞아 / 어린이동아 2016-03-10 4면△나이 두 살 덜 먹자 / 헤럴드경제 2016-02-17 y01면■ 생각 키우기△〈일상생활에서도 한국식 나이 대신 만 나이를 사용하자〉라는 주제로 토론을 하려고 합니다. 한국식 나이 사용과 만 나이 사용에 대한 양쪽 주장은 무엇인지 정리하여 봅시다.△〈일상생활에서도 한국식 나이 대신 만 나이를 사용하자〉라는 주제로 친구(가족)들과 토론하여 봅시다.△토론하면서 새롭게 알게 된 점은 무엇이고, 느낀 점은 어떤 것이 있는지 이야기를 나눠 봅시다.■ 주제 관련 영어 신문 보기Korea is one of the few countries that counts a newborn as being aged one from their birth. The tradition originates from China and was vastly used in East Asian countries.From birth, a Korean starts as a 1-year-old and grows older by a year each year as the calendar changes. A 20-year-old, therefore would be 21 years old in Korean age, even if ones birthday has not passed once the New Year comes around. Its also the reason a newborn baby who came into the world just two short months ago could already be recognized as 2 years old.〈출처 : 코리아헤럴드 2016-02-19 3면〉■ 토론의 현장 속으로- 한국식 나이 셈법 오히려 전해야 하지 않을까저는 일상생활에서 '한국식 나이' 대신 '만 나이'를 사용하자라는 주장에 강력히 반대합니다.먼저, 우리나라는 처음부터 우리만의 나이 셈법을 독창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만 나이로 바꾸어 버리면 사회적 혼란이 생길 것입니다. 예를 들어, 친구가 동생이나 형이 된다면 정말 난처할 것입니다. 여러분, 과연 만 나이로 바꾸어야 할까요? 우리는 많은 사람과 둘러싸여 살고, 우정을 맺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만 나이를 도입했을 때, 친구였는데, 생일이 빠르다고 해서 갑자기 형, 누나 같은 호칭으로 불러야 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사회에 혼란이 생기고, 논쟁과 다투는 일이 늘어날 것입니다.또한, 우리는 조선 시대부터 유교문화를 따라 왔습니다. 다른 나라들이 쓰지 않는 우리만의 나이 셈법을 독창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른 나라들이 만 나이를 한다고 해서 우리도 갑자기 지금까지 했던 것을 버린다는 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미래에는 우리만 한국식 나이를 써 그 독창성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엄마 배 속에 있는 아이도 소중한 생명이라고 믿는 한국식 나이 셈법을 전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설유석(전주양지초 6학년)- 고무줄 나이 이젠, 만 나이로 통일하자만 나이는 태어난 때를 기산점으로 하여 매 생일을 맞을 때마다 한 살을 먹습니다. 이는 전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선 일상생활에서는 보통 세는 나이를 쓰지만, 법률 및 각종 공문서, 언론보도에서는 대부분 만 나이를 사용합니다. 세는 나이는 태어남과 동시에 1살이 되지만, 만 나이는 출생 후 1년, 즉 돌이 되면 1세가 되고 그전엔 생후 개월을 셉니다.저는 만 나이로 수를 세는 것에 찬성합니다. 거의 모든 나라는 모두 만 나이를 사용합니다. 그래서 외국인과 나이를 묻고 답할 때 혼란이 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나이에 민감해 젊어 보이고 싶어 하면서 왜 굳이 1살을 올리는 것일까요? 또한, 공문서나 보험문서 등에선 만 나이를 적용하면서 왜 실생활에선 한국식 나이를 쓰는지 저는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하나로 통일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혼란을 일으키는 한국식 나이 계산보다는 세계화 추세에 따라 이에 걸맞게 만 나이를 사용하면 좋겠습니다. 이민우(전주양지초 6학년 )- 우리나라의 좋은 전통이 사라질 수 있다저는 한국식 나이를 계속 유지했으면 좋겠습니다. 만약 만 나이를 사용한다면 같은 반 친구들끼리 언니, 오빠라고 불러야 하는 경우가 생길 것입니다. 이에 비해 외국은 언니, 오빠라는 호칭이 아닌 이름을 부르기 때문에 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또한, 새해가 되면 가족들이 모두 모여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며 새해 복을 빌어 주곤 합니다.만약 만 나이를 사용하게 되면 이런 전통적인 풍습은 사라질 것입니다. 이렇게 좋은 한국의 풍습을 없애는 것은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와 외국에 차이가 있다고 해서 외국을 따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우리나라의 좋은 전통을 지켜서 자랑스럽게 여기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전하늘(전주효문초 6학년)

  • 교육
  • 기고
  • 2016.09.23 23:02

전북지역 학교건물 내진 비율 16.9% 그쳐

최근 경북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학교 시설물의 안전성 문제가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전북지역 초중등학교 시설물 중 내진설계를 적용한 건물은 16.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교육부가 19일 내놓은 학교시설 내진설계 현황 자료에 따르면 내진설계 대상 전국 초중등학교 건물 3만1797동 가운데 실제 내진설계를 적용한 건물은 7553동으로 내진 비율이 23.8%에 그쳤다.특히 전북지역 학교의 경우 내진 적용 대상 건물 2493동 중 내진설계를 적용한 건물은 421동으로 16.9%에 불과했다. 전북지역 학교 건물의 이같은 내진 비율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제주(14%)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수준이다.이에 따라 교육부는 학교시설 내진보강 사업을 위해 내년부터 예산을 매년 2000억 원 수준으로 대폭 확대하고, 재해 복구에만 사용할 수 있는 재해대책 수요 특별교부금을 재해 예방 사업에도 쓸 수 있도록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을 개정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예산 확대를 통해 학교시설 내진보강 사업 완료에 필요한 기간을 현재 67년에서 20년으로 대폭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이와 함께 전북지역 초중고교 건물 10개 중 1개는 지은 지 40년이 넘은 낡은 건물인 것으로 나타나 안전관리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병욱 의원(더불어민주당)은 교육부에서 받은 2016년 지역별 초중등학교 40년 이상 노후건물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국 초중등학교 건물 7만167개 동 가운데 약 9%에 이르는 6294개 동은 지은 지 40년이 넘은 노후건물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전북지역의 경우 전체 학교건물 5442개 동 가운데 9.6%인 521개 동이 40년 넘은 노후건물인 것으로 조사됐다.이와 함께 김 의원이 밝힌 2016년 초중등학교 재난위험시설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국 21개 학교 26개 시설은 긴급한 보수보강이 필요하거나 사용 금지개축해야 하는 재난위험시설(DE 등급)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안전에 위험이 있는 전국 26개 학교 시설 가운데는 전북지역 모 고교의 본관 건물도 포함됐다.

  • 교육일반
  • 김종표
  • 2016.09.20 2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