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친환경 광역소각장 설립 ‘험로’ 걷나
전주, 김제, 완주, 임실 등 4개 지역의 생활폐기물을 처리할 친환경 광역소각장 설립에 험로가 예상되고 있다. 첫 공고 결과 마땅한 입찰자가 없자 전주시가 최근 광역소각장 입지를 선정하기 위한 2차 공고를 냈는데, 시는 다음 차수에도 적격 입찰자가 없으면 설명회등 광역소각장 부지 확보를 위한 노력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시에 따르면 지난 3월 9일부터 2개월간 1차 공고를 추진한 결과, 1개 지역이 참여했다. 하지만 300m 이내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등록상 세대주의 80% 이상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요건을 충족하지 않았고 타 지자체와의 인접지라는 이유로 반려됐다. 이에 시는 지난 22일부터 2차 공고를 추진하면서 1차 공고보다 주민지원기금 범위를 반입수수료의 10% 이내에서 20% 이내로 법적 최대 기준치에 맞게 상향했다. 마을 주민들의 응모를 독려하기 위해서다. 친환경 광역소각장 신설은 상림동 현 전주권 광역소각자원센터의 운영기한이 오는 2026년 9월 만료를 앞두고 있어 기술 진단 및 타당성 조사를 실시한 결과, 신규 광역소각시설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서 추진하게 됐다. 앞서 환경부 지침에서 제시한 최적화 권역인 전주시, 김제시, 완주군, 임실군 등 4개 시·군의 생활폐기물을 처리하는 광역화 소각장으로, 해당 4개 시·군이 입지공모 대상에 포함됐다. 전주권 광역 폐기물처리 소각시설은 전주 광역권인 전주시, 김제시, 완주군, 임실군 등 4개 시·군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처리하게 된다. 현재 이들 4개지역 전체 폐기물의 80% 이상이 발생하는 전주시에서 관련 절차를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가동 목표 시기는 오는 2028년이다. 시는 3차 공고까지 진행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지역 주민들을 만나 설명회 등을 여는 등 입지 선정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오는 6월 12일까지 21일간 진행되는 이번 2차 공고에서는 1차 공고 내용과 같이 △폐기물처리시설 입지선정계획(폐기물처리 대상 지역, 예상 규모 등) △입지선정 기준 및 방법 △입지 후보지 조건 및 응모 자격 △주변 지역 주민지원 등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이후 접수된 입지 후보지에 대한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 친환경 전주권 광역소각장이 들어설 입지를 최종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이후 기본계획 수립과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중앙투자심사, 환경·재해영향평가 등의 행정 절차를 거쳐 공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입지선정 기준은 해당 지역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유치를 희망하면서 환경 영향이 최소화되고 차량 진·출입이 용이해 교통혼잡이 적은 지역이다. 최현창 시 자원순환본부장은 “친환경 소각장 신규 건립은 전주시, 김제시, 완주군, 임실군 4개 시·군의 안정적인 생활쓰레기 처리를 위해 향후 20년 이상 소각 정책에 있어 가장 중요하고 꼭 필요한 역점 사업”이라며 “시설을 유치한 지역에 대한 주민지원 범위가 법적 최대치로 상향된 만큼 마을 등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김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