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13 18:32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날씨

짧고 굵게 온 비 해갈엔 역부족

농심이 타들어가고 있던 전북에 이틀 동안 단비가 내려 일부지역의 가뭄 해갈에 큰 도움이 됐다. 그러나 지역별 편차가 크고 상대적으로 피해가 큰 부안과 고창 등 서해안 지역에는 비가 적게 내려 가뭄 피해를 완전 극복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27일 전북도가 기상청에서 제공받은 자료에 따르면 26일부터 이날 오전까지 도내에는 평균 26.33㎜의 비가 내렸다. 전주에 66.5㎜의 가장 많은 비가 내렸고, 진안 53.5㎜, 군산 15.8㎜, 고창 5.6㎜, 정읍남원부안 0~1.7㎜ 등을 기록했다.비가 15㎜이상 내린 지역인 진안과 군산 등은 가뭄 해갈에 도움이 됐다. 특히 군산은 이번 비로 논밭작물 피해가 완전히 해소됐다는 게 전북도의 설명이다. 지난 26일 기준으로 군산의 기존 피해 면적은 20㏊였다.실제 도내 논밭작물 전체 피해 면적도 284㏊에서 209㏊로 줄었다.그러나 가뭄이 지속된 기간에 염도가 높은 민물이 유입, 작물의 고사현상이 일어났던 고창과 부안지역(고창 2㏊, 부안 7㏊)의 가뭄피해는 여전했다. 전북도에 따르면 두 지역의 논밭작물 피해 면적은 161㏊로 도내 전체 피해면적의 77%에 이른다.전북도 농업정책과 김판기 농업기반팀장은 일부 지역에 많은 비가 내려 가뭄 해갈에 도움은 됐지만. 고창과 부안지역에는 더 많은 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날씨
  • 김세희
  • 2017.06.28 23:02

올 여름 '마른 장마·불볕 더위' 이중고

유난히 열(熱) 받는 전북지역에 올여름 비가 거의 없는 마른장마가 이어질 전망이다.21일 전주기상지청은 올여름 장마전선이 토요일인 오는 24일 제주도에 북상한 뒤 26일 남하할 것으로 예보했다.전주기상지청 관계자는 일본 남쪽 해상에 위치한 장마전선이 24일께 제주도 부근 해상으로 북상할 것이라며 이번 장마전선은 세력이 약해 전북에 영향을 미치진 않겠지만, 기압골의 영향으로 비는 내릴 것이라고 예보했다.전주기상지청은 올해 6~7월 장마기간 도내 강수량은 평년보다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내다봤다.최근 6년간 전북지역 장마 시작일은 평균 6월 23일, 종료일은 7월 23일 전후다.전주기상지청 관계자는 올해 장마 기간 강수량을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장마 기간에 속하는 6~7월 강수량이 평년(6월 158㎜7월 285㎜)보다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보인다며 최근 3년간의 기록적인 마른장마가 올해에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전주기상지청이 밝힌 장마 기간 강수량 분석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9년 장마 기간 전북지역에 내린 비는 615.8㎜로 평년 강수량(355.1㎜)보다 무려 1.7배나 많았다.그러나 2009년을 정점으로 2010년(309.1㎜)부터 지난해(273.1㎜)까지 적은 강수량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 3년간 내린 장맛비는 평년 강수량보다 57~76%가량 적었다.폭염도 심상치 않다.전국적으로 이상 기후를 일으켰던 지난해 전북지역에서는 총 258건(7월 74건8월 184건)의 폭염(이틀연속 최고기온 33도 이상)이 발생했다. 이는 지난 2012년 181건, 2013년 201건, 2014년 42건, 2015년 101건 등과 비교해 높은 수치다. 올해는 남원에서 폭염이 두차례 발생했다.지난 16일 전주를 시작으로 21일 현재 도내 10개 시군에 폭염주의보가 내려졌다. 폭염주의보는 33도 이상의 날씨가 이틀 연속 지속이 예상될 때 발효된다.열대 태평양 바닷물의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엘니뇨 현상은 최근 중립 상태를 보이고 있는 한편, 올여름 태풍은 평년(11.2개)과 비슷한 10~12개가 발생해 이 가운데 2개(평년 2.2개) 정도가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됐다.전북도 자연재난과 관계자는 군산과 순창, 무주에서 3명에게 온열 질환 증상이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본격적인 무더위에 앞서 무더위 쉼터를 점검하는 등 폭염 피해와 가뭄 예방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한편, 지난해 전북지역 폭염 피해는 온열 질환자 123명, 가축 폐사 151만2000마리, 농작물 고사 2778㏊ 등으로 집계됐다.

  • 날씨
  • 남승현
  • 2017.06.22 23:02

국민안전처, 때 이른 폭염에 전국 긴급 안전실태 점검

때 이른 폭염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전국적으로긴급 안전실태 점검이 실시된다. 국민안전처는 20∼28일 전국 무더위쉼터, 공사 현장, 취약시설 등을 대상으로 폭염 대비 실태 긴급 점검에 나선다고 밝혔다.이번 점검에서는 범정부 차원의 폭염대응 및 신속한 보고·전파 체계 등을 우선 살펴볼 계획이다.또, 지자체 폭염종합대책 상황실 운영, 온열 질환자 이송 등 유관 기관 협조체계, 무더위쉼터 운영, 취약관리 계층 등 폭염 관련 현장 실태 전반을 점검한다. 점검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이나 개선사항은 해당 기관과 전국 지자체에 전파해 유사 사례가 나오지 않도록 할 방침이다. 문제점을 지적받고도 부실 대응한 기관에 대해서는 기관경고 등 조치에 나설 계획이다.안전처는 이날 국무조정실,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등 9개 중앙부처 과장과 17개 시·도 국장이 참석한 가운데 ‘폭염 피해예방을 위한 긴급 대책회의’도 열었다.회의에서는 ‘2017년 폭염대응 종합대책’에 따른 기관별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계획 등 기관 간 협조사항을 논의했다고 안전처는 전했다.안전처에 따르면 올해는 장마가 시작되기도 전인 5∼6월에 전국적으로 불볕더위가 시작되면서 폭염 특보 일수가 작년보다 4일 증가했다. 연합뉴스

  • 날씨
  • 연합
  • 2017.06.21 23:02

폭염에 속타는 농심, 가뭄 피해 속출

평년(30년)에 비해 절반 수준의 강수량으로 가뭄을 맞은 전북의 농심이 타들어가고 있다. 특히 앞으로 비소식이 적을 것이라는 기상예보속에 폭염이 일찍 찾아오면서 논밭작물 피해가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이런 가운데 시군별로 50㏊이상 피해면적이 나와야 인접지역의 개별 피해농가까지 보상받을 수 있도록 한 농림축산식품부의 불합리한 지침이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19일 전북도에 따르면 올 1월~6월 누적강수량은 210.3mm로 평년대비(389.0mm) 54.1%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농업용 저수지 평균 저수율도 43.6%로 평년 저수율(55.9%)보다 낮은 상황이다.실제 남원시와 순창군, 고창군 등 5개 지역에서는 이미 93㏊에서 가뭄피해가 발생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저수지 용수가 논에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농작물이 마르는 논물 마름 현상이 68㏊, 고사해버린 농작물이 5㏊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가뭄으로 밭이 시들어버린 경우도 20㏊에 이른다. 특히 이 가운데 부안지역의 피해면적이 43㏊에 달한다.전북도는 가뭄 피해 최소화를 위해 가뭄대책상황실을 운영하는 한편 관정(142개소)과 양수장(8개소), 저수지 준설(19개소) 등 용수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긴급가뭄대책예산 83억 원(국민안전처 특교세 31억 원, 14개 시군 자체예산 52억 원)을 투입해 간이양수장, 들샘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그러나 가뭄이 장기화 될 경우 이 정도 예산과 대책으로는 피해를 막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실제 내달 중순 이후부터는 농업용수공급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는 게 전북도의 설명이다.이런 가운데 시군별로 50㏊이상 피해면적이 나와야 인접지역의 개별 피해농가까지 보상받을 수 있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지침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가령 김제에서 50㏊ 이상 피해가 발생하면 인접한 부안지역은 피해면적이 50㏊이하여도 보상을 받을 수 있지만, 김제와 인접하지 않은 무주의 경우 피해면적이 49㏊에 달해도 보상을 받을 수 없다.강승구 전북도 농축수산식품국장은 이러한 방침을 수정해달라고 오래전부터 요청했지만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전북도는 가뭄 심각단계에 준해서 대응하고 있으며, 농가에서도 가뭄피해 신고 등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 날씨
  • 김세희
  • 2017.06.20 23:02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