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국제회의 도시’ 지정 신청 준비 착수
속보= 산업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된 군산시를 국제회의 도시로 지정하는 방안이 추진돼 귀추가 주목된다. (8월 2223일자 7면 보도) 군산시에 따르면 전북도는 최근 군산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정하는 국제회의 도시로 지정받기 위해 세부 준비에 들어가 내년부터국제회의산업 육성에 관한 계획을 수립, 국제회의 도시 지정 신청을 할 계획이다. 이 계획에는 국제회의 참가자를 위한 편의시설 확보, 관광자원 개발, 국제회의 유치 일정 등의 내용이 들어간다. 국제회의 도시는 국제회의산업의 육성진흥을 위해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정한 특별시광역시 또는 시를 말하며, 지정 대상은 국제회의 산업 육성에 관한 계획과 편의시설, 관광자원, 국제회의시설 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군산시는 도내에서 유일하게 전문 회의 시설인 지스코(컨벤션홀 최대 2000석, 연회장 860석, 중소회의실 10실, 실내전시관 3000㎡)를 보유하는 등 기본 조건을 갖춰 국제회의 도시 지정 가능성이 높다. 특히 새만금과 국가산업단지를 배후에 둔 산업 도시이면서 고군산군도와 근대역사지구 등 관광자원이 풍부한 항구 도시로서 마이스 산업을 특화할 수 있는 요소가 많은 도시로 평가받고 있다. 군산시가 국제회의 도시로 지정되면 전담기구 재정지원을 비롯해 국제회의 관련 업체에 대한 세금감면 및 국제회의 유치 시 각종 예산을 우선지원 받을 수 있다. 또한 글로벌 도시로서 새로운 도약의 발판이 마련돼 군산을 상징하는 근대역사와 마이스가 만나는 독특한 도시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도와 군산시는 국제회의 도시 지정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향후 마이스 산업 관련 전담조직(컨벤션 뷰로) 설치를 추진, 관광 진흥 개발기금 등 다양한 국비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는데 주력할 계획이다. 윤동욱 전북도 문화체육관광국장은 군산은 무한 발전이 기대되는 새만금을 보유한 도시이며 근대역사 도시로서 많은 관광객이 군산을 찾고 있어 미래 발전가능성이 풍부한 지역이라며 산업자원과 관광자원을 가꾸고 다듬어 브랜드화해 국제회의 도시로 지정되면 군산시는 마이스시장의 새로운 도전자로 주목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내에는 서울, 부산, 대구, 제주, 광주, 대전, 인천, 창원, 경주, 고양, 평창이 국제회의 도시로 지정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