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11 19:42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정읍

정읍시, ‘비바청춘 창업프로그램’ 2기 참여자 모집

정읍시가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청장년 창업가 양성 지원을 위해 2020 비바청춘 창업프로그램 2기 참여자를 모집한다. 비바청춘 창업프로그램은 지역사회의 청장년층에게 창업 역량을 강화하고 협동조합과 사회적기업 조직구성을 위한 기반 조성및 자생적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마련된 도시재생 주민역량 강화 사업이다. 창업에 대한 기본적인 교육뿐 아니라 상권분석매장 구성 방법리모델링 전략 등 교육생들이 창업 준비 단계에서 필요한 실질적인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한다. 지난해 비바청춘 창업프로그램 1기를 통해 4명의 교육생이 실제로 창업한 바 있다. 올해 2기 참여자는 오는 11일까지 교육생 20명을 모집한다. 참여 대상은 예비창업자 등 창업에 관심 있는 만 18세~55세의 정읍시민으로, 현재 사업자등록이 되어있는 자는 참여가 제한된다. 참여를 희망하는 사람은 관련 서류를 갖춰 11일까지 이메일(padowind@naver.com) 또는 정읍시 도시재생 현장 지원센터로 방문 접수하면 된다. 도시재생과 관계자는 올해 참여자의 창업 이후에도 지속적인 컨설팅을 제공해 향후 정착에도 도움을 주는 창업 특화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정읍
  • 임장훈
  • 2020.08.04 16:02

정읍시, ‘유기동물 보호소 관리·감독 소홀’ 사과

정읍시가 칠보면 소재 A 동물병원에 위탁 운영한 유기동물보호소 관리감독 소홀에 대해 사과했다. 곽승기 정읍부시장은 지난달 31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열악한 시설에 갇혀있던 보호견 40여 마리는 임시 보호시설로 이송했다며 철저하게 지도 관리를 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 깊이 반성한다고 밝혔다. 이어 관리를 소홀히 했던 부분은 철저히 조사해 엄중하게 조치할 계획이며 다시는 같은 일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동물보호단체등과 소통 협력 체계를 구축하며 재발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곽 부시장은 이번 일로 인해 동물복지 행정에 걸림돌이 되지나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면서 직영 동물보호센터 신속 건립과 반려동물 산책 놀이터 조성등 동물 보호및 복지 수준 향상에 직극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여한 정읍지역 동물보호단체들은 유기동물보호소가 연간 9000여만원의 지원을 받는 과정과 절차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하며 책임자에 대한 문책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유기동물보호소 마약류로 분류되는 약품을 수의사가 아닌 일반 관리인이 했다며 사법당국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앞서 정읍지역 동물보호단체 활동가와 관계공무원들은 지난달 25일 이곳 유기동물보호소의 개들이 인근 개농장 으로 보내져 도살되고 있는 현장을 확인하고 관련자들을 사법기관에 고발조치했다.

  • 정읍
  • 임장훈
  • 2020.08.02 15:20

정읍시, 향기 도시 발전전략 연구용역 부서 워크숍

정읍시가 향기 산업을 지속 가능한 관광 콘텐츠로 개발하기 위해 30일 향기 관련 부서장과 팀장 등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향기 도시 발전전략 연구용역 관련 부서 워크숍을 개최했다. 시 성장전략실에 따르면 지역 내 향토자원 관련 사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부서 간 협업을 통해 향기 자원 중점분야별 실행전략을 구체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향토자원에 대한 새로운 산업체계를 구축해 향후 10년 뒤 정읍의 새로운 신성장 동력산업의 발판을 마련한다는 취지다. 참석 직원들은 농업, 관광, 산업화, 도시재생, 브랜딩화 전략과제의 세부내용을 청취한 후 이에 대한 질의응답과 토론을 펼쳤다. 이어 부서별로 구상한 신규시책과 현재 진행 중인 유사 사업에 대해서도 자문을 갖고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주요 의견으로는 △향기공화국 브랜딩화를 위한 타 지자체와 차별화된 전략 방안 △향기 도시 건설을 위한 시민 공감대 형성방안 △실효성 있는 향토자원(경관 작물) 확대 방안 △향토자원을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 사업 발굴 육성 방안 △도심권과 향기 자원이 상생 발전할 수 있는 연계방안 △향기 자원을 활용한 구도심 활성화 전략 방안 △첨단산업단지와 연계한 기업체 기술이전 방안 △향기산업 중장기 선순환 구조 체계 구축 및 산업화 육성 로드맵 전략 방안 등이다. 이용관 성장전략실장은 찾고 싶고, 머물고 싶고, 살고 싶은 향기 도시 건설을 위해 제시된 의견들을 향기 산업 발전에 적극 반영해 나갈 방침이다고 밝혔다.

  • 정읍
  • 임장훈
  • 2020.07.30 15:53
지역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