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교육감 선거 주요 이슈는?
제8회 6·1 전국동시지방선거일이 다가오는 가운데 전북교육의 수장을 가리는 교육감 선거 결과에 귀추가 주목된다. 역대 전북교육감 선거에서 주요 이슈로 다뤄졌던 사안은 무엇일까. 전북교육감 선거는 지난 2008년 첫 직선제가 시행됐다. 현재는 교육감 선거에 기호는 없지만 당시에는 기호도 존재했다. 2008년 진행된 1회 전북교육감 선거의 주된 공약은 공교육의 강화와 교사 중심의 교육복지가 주요 이슈였다. 당시 최규호 후보는 외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공교육 강화 정책과 도교육청의 지원행정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다. 오근량 후보는 육아교직원을 위한 탁아방 운영, 교육전문직의 본래 업무를 전념케 한다는 공약도 내세웠다. 2010년 진행된 교육감 선거때부터는 기호가 사라졌다. 이때 전북도교육청의 청렴도 꼴찌, 학원수강료 상한제를 통한 사교육비 감축, 초중고 무상급식 공약이 전북교육의 주된 이슈였다. 고영호 후보는 공교육비와 사교육비 50% 절감, 무상급식 실시, 학원수강료 상한제 도입 및 학원 운영시간 제도화 등의 공약을 걸었으며, 신국중 후보는 무상급식 단계적 확대, 사교육비 감축을 위해 민간위탁으로 운영되던 방과후 학교를 직영체제로 전환, 김승환 후보는 무상급식을 위한 45만 원 지원, 학원수강료 상한제, 교육부패로 인한 청렴도 상승을 주된 공약으로 내걸었다. 오근량·박규선 후보도 청렴과 무상급식 등 공약을 냈다. 2014년은 전북의 기초학력 최저와 불통과 독선, 학생인권조례로 인한 교권추락이란 단어가 주요 공약집에 등장했다. 재선에 도전하는 김승환 후보를 공략하기 위한 정책들이었다. 이미영 후보는 ‘기초학력 전국 꼴찌, 학력부터 올리겠다’며 기초학력 상승을 약속했고, 신환철 후보는 ‘전국에서 제일 공부 잘하는 전북교육을 만들겠다. 학생인권조례로 교사들의 사기저하, 중앙정부와의 원만한 관계 유지’라는 표현을 썼다. 유홍렬 후보도 ‘꼴찌 전북교육을 1등으로, 학생인권조례가 교사들의 갈등을 불러일으키고 의욕을 잃고 있다’고 공약집에 담았다. 반면, 김승환 후보는 ‘대입수능성적 전국 상위권’, ‘교사의 자존심’, ‘교사억압’. ‘공부잘하는 전북교육’, ‘학생들의 학력이 높아지고 있다’는 등의 표현을 쓰며 방어했다. 김승환 후보가 3선에 도전하자 2018년 교육감 선거는 4년 전 선거의 연장선으로 흘러갔다. 교권확립과 기초학력 꼴찌는 후보들의 공약집에 반드시 들어갔다. 또 이재경, 이미영 후보 등은 현장전문가 등을 내세우며 교수출신 후보인 김승환, 서거석 후보 등을 견제하기도 했다. 올해 치러지는 교육감 선거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미래교육’과 ‘디지털(AI)’을 기반으로 한 교육공약이 주된 이슈로 떠올랐다. 김윤태 후보는 ‘전북형 인터넷 교육방송 운영’, ‘4차 산업혁명에 적합한 제2 과학고 설립’ 등을 공약했고, 서거석 후보는 ‘학생 개인 스마트기기 보급을 통한 온란인 플랫폼 구축’, ‘AI기반 창의융합수업’, ‘교사 디지털 수업역량 강화’ 등을 약속했다. 천호성 후보는 ‘디지털 미디어교육 전담교사 배치’, ‘초등 메타버스 학습 프로그램 개발’, ‘초·중학교 코딩교육 시수 확대, ’디지털교육 통합 플랫폼 운영‘ 등을 공약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