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교통약자정책 전국 모범사례"
국회가 전주시의 교통약자 특별교통수단을 전국 모범사례로 평가했다.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윤소하 의원(정의당, 비례대표)는 20일 전주장애인복지관에서 전주시 교통약자 특별교통수단 정책을 전국 모범사례로 평가하며, 장애인 이동권 확대와 관련된 문제는 다른 지자체에서 소극적으로 하는 부분인데 전주시의 사례가 타 자치단체에 적극적으로 전해졌으면 좋겠다고 밝혔다.이날 현장 간담회는 지난 19일 열린 국민연금공단 국정감사에 이은 현장시찰로, 김승수 전주시장은 이 자리에서 의원들에게 교통약자 특별교통수단인 이지콜과 저상버스, 무료셔틀버스 운행 등에 대해 소개했다.김 시장은 간담회에서 교통약자 특별공공수단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 현재 전액 시비로 운영 중인 장애인 콜택시(이지콜)의 인건비와 내구연한 10년 경과 차량의 대폐차 비용, 셔틀버스 운영비 등의 일부를 국가가 지원해줄 것도 건의했다.이에 대해 윤 의원은 전주시의 콜택시 운영비용의 국비 50% 지원 요구와 일체형 승강장도 모범사례라고 생각한다며 장애인의 광역 이동권 문제는 국토부에서 시외고속저상버스 개발을 위한 용역을 진행하고 있고, 2018년 말 완료될 예정이지만 전국적으로 시행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므로 우선 지자체 중 전주시의 사례로 추진하고 예산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해보겠다고 밝혔다.전주시는 교통약자 특별교통수단인 콜택시(이지콜)와 셔틀버스 등을 운영하고, 전동수동 휠체어와 전동스쿠터 등 장애인 이동기기에 대한 수리비도 지원해왔다.또 장애인과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를 동반한 시민, 어린이 등 일상생활에서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교통약자들이 탑승하는 셔틀버스를 오는 11월부터 운영할 예정이다. 12급 중증장애인을 위해 운영중인 콜택시도 이용자 요구사항을 반영해 3대를 추가 증차하고, 낡은 차량 2대는 이달 중 새것으로 교체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