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13 23:10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보도

농촌진흥청, 농업환경보전 프로그램 활동 안내서 개발·보급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진하는 농업환경보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농업인의 이해를 돕기 위해 농업농촌환경 보전을 위한 농가실천 매뉴얼을 개발해 보급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안내서는 토양검정을 받고 비료사용처방서 준수 등 35개 활동을 다루고 있으며 농가가 쉽게 이해하고 따라 할 수 있는 개인활동과 마을 단위의 공동활동으로 나누고 각 활동별로 정의, 활동방법, 참고자료, 주의사항을 삽화 등으로 구성됐다. 이로 인해 농경지 적정 양분 투입, 농약사용 저감, 토양 침식방지, 생물다양성 보전, 축산 악취제거와 온실가스 저감, 농업용수 절감수질개선, 농촌경관개선, 전통농업유산 보전 등 환경보전형 농업을 실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안내서는 올해부터 확대 실시되는 농업환경보전 프로그램 사업 신규 참여 20개 마을 농업인과 지자체 농업환경 담당자 등에게 보급할 계획이며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에서 PDF로 열람이 가능하다. 농촌진흥청 토양비료과 고병구 과장은 농업의 공익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개발된 안내서가 농업환경보전 프로그램의 확산에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경제일반
  • 김선찬
  • 2020.02.18 19:14

교사 휴대폰번호 노출 걱정 끝 ‘교사 매니저 서비스’ 나왔다

KT 마케팅 협력업체 ㈜한통(대표 정덕상)은 초중고 교사들이 휴대전화 번호 노출 없이도 학부모와 안심하고 소통이 가능한 교사 매니저 서비스를 개발, 2020년 새학기부터 전국 교육청 중 처음으로 대구시교육청에 제공한다. 교사 매니저 서비스는 사무실 유선전화를 지능망 기술을 이용해 PC와 연동시킨 개방형 KT통화매니저 플랫폼에 교원용 소통기능을 추가함으로써 가능해졌다. 최근 교육계에서는 교원에게 무분별한 휴대전화 연락, 개인 SNS 노출, 교권침해 등으로 사생활 보호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각 교육청에서는 투폰서비스, 투넘버서비스, 안심번호 앱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안으로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효과 면에서 다소 미흡한 실정이었다. 교사 매니저 서비스는 교원 사생활보호의 가장 핵심인 개인 휴대전화 번호를 노출하지 않고도 학부모 등과 원활한 소통의 길을 열어줌으로써 교육계의 고민을 말끔히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어 A선생님이 개인휴대폰을 이용해 학부모에게 연락(전화 또는 문자)하면 기존 A선생님에게 배정된 학교 명의의 교실 직통유선전화가 표시되게 함으로써 개인 휴대폰번호 노출을 완벽하게 차단해 준다. 학부모도 표시된 유선전화로 선생님에게 연락을 하면 선생님은 개인휴대폰으로 실시간 학부모와 언제든지 소통도 가능하다. 이 밖에도 △학부모 등 전화번호 관리 △업무상황(수업 중, 수업종료 등) 음성알림 △착신전환 등의 기능도 함께 사용할 수 있어 학교업무를 보다 편리하고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정덕상 대표는 앞으로 업무를 더욱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사무실 유선전화의 다양하고 품격 높은 스마트 부가기능을 지속 개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IT·과학
  • 이종호
  • 2020.02.17 18:12

전북 상공인, 군산 고용·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 연장 촉구 건의

전북지역 상공인들이 위기에 처한 전북경제의 회복을 위해 군산지역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 및 고용위기지역 지정 연장 촉구에 나섰다. 전라북도상공회의소협의회(회장 이선홍)는 지난 14일 군산시의 고용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 연장을 촉구하는 건의서를 청와대를 비롯한 관계부처에 전달했다. 지역 상공인들은 건의서를 통해 정부가 2년 전 군산지역의 경제회복을 위해 군산을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 및 고용위기지역으로 다각적인 지원책 마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생산과 수출이 90% 이상 감소한 상태로 회복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라는 입장을 보였다. 이어 전북에서 유일하게 코로나 확진환자가 발생하면서 침체된 지역경제가 나아지기는 커녕 더욱 얼어붙었다고 덧붙였다. 또한 군산이 고용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에서 배제돼 정부지원이 중단된다면 나락에 빠진 군산경제는 물론 전북경제가 큰 타격을 입을 것은 뻔한 상황으로 도민들의 절망감은 극에 달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선홍 전북상협 회장은 지금 군산의 지역경제 상황은 다른 어느 지역보다 국가적 지원이 절실하다며 전라북도 산업경제의 중심에 있었던 군산이 다시 일어날 수 있을 때까지 군산의 고용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은 반드시 연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산업·기업
  • 김선찬
  • 2020.02.16 17:26
경제섹션